세미나

내용
해양환경은 한번 훼손되면 복원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며 매년 18만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는 등 국민 인식이 부족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해양환경교육 필요성이 대두됐다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에 따라 제1차 해양환경교육 종합계획이 마련되었고 학교 및 사회 부문 교육 기반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교육과 실천 중심의 전략이 추진되었다
학교 부문에서는 초중고 해양수산계 고교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을 지원하고 사회 부문에서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문가 양성이 이뤄졌으며 기반 부문에서는 국가센터 운영과 제도적 뒷받침이 포함됐다
이동형 해양환경교실은 경남권 중심으로 운영되며 테마 중심 교육 STEAM 교육 콘서트 형식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중심 체험교육을 제공했다
민간 교육기관과의 협력도 확대되어 지역별로 갯벌 해양쓰레기 특별관리해역을 주제로 한 체험교육이 실시되었고 권역별 강사단 운영을 통해 교육수요자에게 직접 강사를 매칭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교재 개발 강사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해양환경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졌으며 환경보전협회와 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지역 환경교육센터 운영과 연계가 강조됐다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에 따라 제1차 해양환경교육 종합계획이 마련되었고 학교 및 사회 부문 교육 기반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교육과 실천 중심의 전략이 추진되었다
학교 부문에서는 초중고 해양수산계 고교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을 지원하고 사회 부문에서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문가 양성이 이뤄졌으며 기반 부문에서는 국가센터 운영과 제도적 뒷받침이 포함됐다
이동형 해양환경교실은 경남권 중심으로 운영되며 테마 중심 교육 STEAM 교육 콘서트 형식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중심 체험교육을 제공했다
민간 교육기관과의 협력도 확대되어 지역별로 갯벌 해양쓰레기 특별관리해역을 주제로 한 체험교육이 실시되었고 권역별 강사단 운영을 통해 교육수요자에게 직접 강사를 매칭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교재 개발 강사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해양환경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졌으며 환경보전협회와 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지역 환경교육센터 운영과 연계가 강조됐다
목차
I 해양환경교육 정책
1 주요배경
2 현황 및 문제점
3 추진 전략
II 센터 운영 현황
1 조직 및 구성원
2 주요 사업
3 차년도 운영계획
III 협업 방안
1 환경부 사례
1 주요배경
2 현황 및 문제점
3 추진 전략
II 센터 운영 현황
1 조직 및 구성원
2 주요 사업
3 차년도 운영계획
III 협업 방안
1 환경부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종주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제5차 충남해양수산포럼(CNI 세미나 2017-137) (윤종주, 유재영, 김대영) 2017. 10. 31
서해안 해양환경현안 공동대응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관계기관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7-088)(윤종주, 김성수,이경미,최만식) 2017. 07. 07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2016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16. 05. 19
동일한 유형의 자료
-
연구정책조성/세미나2017 충남환경회의(CNI세미나2017-150)(이지언,여형범,오동훈,이상진,박재현,이재영,유연숙,장수찬,한재각,김정수,홍수열,정종관)2017. 11. 17
-
연구정책조성/워크숍2012 로컬푸드 컨퍼런스 in 충남 (Mark Winne, Gianluca Brunori,Vanessa Malandrin, 다니구치 요시미츠 아키타, 허남혁)2012. 09. 0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