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지역해양환경교육센터 운영 자문회의(CNI세미나2017-195)(조찬연,윤종주)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청남도 지역해양환경교육센터 운영 자문회의(CNI세미나2017-195)(조찬연,윤종주)

기간
2017. 12. 19 ~ 2017. 12. 19
연구자
윤종주
키워드
해양환경,교육정책,체험교육,이동교실,환경보전,교재개발,민관협력,전문인력
다운로드

발표1.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 운영 현황_조찬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2. 충청남도 지역해양환경교육센터 운영 계획_윤종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해양환경은 한번 훼손되면 복원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며 매년 18만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는 등 국민 인식이 부족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해양환경교육 필요성이 대두됐다
제2차 환경교육종합계획에 따라 제1차 해양환경교육 종합계획이 마련되었고 학교 및 사회 부문 교육 기반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교육과 실천 중심의 전략이 추진되었다
학교 부문에서는 초중고 해양수산계 고교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을 지원하고 사회 부문에서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문가 양성이 이뤄졌으며 기반 부문에서는 국가센터 운영과 제도적 뒷받침이 포함됐다
이동형 해양환경교실은 경남권 중심으로 운영되며 테마 중심 교육 STEAM 교육 콘서트 형식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중심 체험교육을 제공했다
민간 교육기관과의 협력도 확대되어 지역별로 갯벌 해양쓰레기 특별관리해역을 주제로 한 체험교육이 실시되었고 권역별 강사단 운영을 통해 교육수요자에게 직접 강사를 매칭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교재 개발 강사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해양환경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졌으며 환경보전협회와 지자체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지역 환경교육센터 운영과 연계가 강조됐다

목차

I 해양환경교육 정책
1 주요배경
2 현황 및 문제점
3 추진 전략
II 센터 운영 현황
1 조직 및 구성원
2 주요 사업
3 차년도 운영계획
III 협업 방안
1 환경부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