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남형 어촌특화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8-008)(이승길,김종화)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형 어촌특화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8-008)(이승길,김종화)

기간
2018. 02. 28 ~ 2018. 02. 28
연구자
김종화,박용규,장원석,심희철,이지연
키워드
어촌관광,어촌특화산업,6차산업화,귀어귀촌,해양관광,수산업,지역개발,지속가능성
다운로드

[자료집]충남형 어촌특화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워크숍-180228.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형 어촌특화 발전모델 구축을 위한 워크숍에서는 어촌관광과 6차산업화 귀어귀촌 활성화를 중심으로 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이 논의되었다 지역 고유 자원과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모델 구축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어촌관광은 단순 관광을 넘어 어민 소득 증대와 공동체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갯벌체험 어업 체험 문화축제 등을 통한 차별화된 관광상품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시설 노후화 고령화 제도적 규제 등 문제 해결과 주민교육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충남 어촌은 전국 대비 높은 어가 수와 어업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나 고령화와 소득 불균형 경영비 증가 등 구조적 문제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6차산업화 모델로 생산 가공 체험관광이 연계된 마을 단위 비즈니스 체계 구축이 제안되었다
어촌계장의 77가 6차산업화를 추진하지 않고 있으며 이유로는 정보 부족 역량 부족 주체 부재 등을 들었다 추진을 위한 조건으로 주민 역량강화 외부 전문가 지원 정부 및 지자체 사업 연계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일본의 성공 사례처럼 지역 특성을 살린 예술관광 어민청년 협업 직접판매 확대 등이 소개되었고 귀어귀촌 촉진을 위한 후계자 육성과 근로환경 개선 창업지원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형 어촌특화모델은 주민 주도의 강력한 추진의지 마을 특색을 반영한 브랜드 개발 행정의 단계별 지원 공동체 단결과 지역 리더십 확보를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목차

I 어촌관광 활성화에 대한 이해
1 해양관광에 대한 이해
2 해양관광의 유형
3 어촌관광이란
4 어촌관광 활성화의 필요성
5 어촌관광의 문제점
6 어촌관광의 발전방안
II 충남 어촌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방향 및 전략
1 충남 어촌의 위치
2 어촌6차산업화특화 개념 및 인식
3 어촌관광 개념 및 사례
4 귀어귀촌 개념 및 사례
5 어촌특화산업 방향 및 전략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