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금강 생태복원 방향 설정을 위한 정책 세미나(CNI세미나2018-075)
연구정책조성/세미나

금강 생태복원 방향 설정을 위한 정책 세미나(CNI세미나2018-075)

기간
2018. 08. 21 ~ 2018. 08. 21
연구자
정옥식,장하라
키워드
금강,조류서식지,멸종위기종,월동조류,서식지감소,먹이자원,위협요인,생태보전
다운로드

발표2. 조류 서식지로서 금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정옥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1. 금강 수생태계 현황 및 복원 방향을 위한 논의 - 장민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강 유역은 서천 부여 청양 공주 논산 등을 포함하며 유로는 4014에 달하고 유역면적은 98557이다 이 중 해발 100m 이하 지역이 전체 면적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금강은 국제적 철새 이동 경로인 EAAF에 포함되며 과거에는 약 54종의 월동조류가 최대 34만 개체 이상 서식하였다 큰고니 개리 큰기러기 등 멸종위기종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2000년대 이후 월동조류 개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으며 특히 청둥오리의 개체수 감소가 주원인이다 큰고니는 2015년 2017년에는 관찰되지 않기도 했으며 중류 및 상류 지역도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다
주요 원인으로는 보 설치와 채굴작업에 따른 하중도 소멸 수심 증가 식생대 제거 등이 있으며 이는 조류의 휴식 및 먹이 활동 공간을 감소시켰다 또한 곡물가 상승으로 인한 볏짚 수요 증가도 먹이 자원의 감소에 기여하였다
위협요인의 증가도 문제다 자전거 도로 제방길 등의 개설로 시각적 위협이 늘고 갈대밭 제거로 은폐공간이 사라져 불필요한 비행 증가와 에너지 소모를 유발하고 있다
대책으로는 제내지와 제외지를 활용한 서식지 조성 하중도 복원 무논 조성 은폐막 설치 볍씨와 미꾸라지 방류 등을 통한 먹이 자원 제공이 제시되었다 생태관광과 연계한 활용도 기대된다

목차

I 금강 일반 현황
1 금강 일반 현황
2 조류 서식지 금강 현황
3 서식지 감소
II 최근 10여년간 월동조류 서식 현황
1 하류 월동조류 서식현황
2 중류 월동조류 서식현황
3 상류 월동조류 서식현황
III 문제점
1 서식지 감소
2 먹이자원 감소
3 위협요인 증가
IV 개선 방안
1 서식지 조성
2 위협요인 관리
3 먹이 관리
V 기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