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제2회 충남 사회적경제포럼(CNI세미나2018-092)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제2회 충남 사회적경제포럼(CNI세미나2018-092)

기간
2018. 09. 20 ~ 2018. 09. 20
연구자
박춘섭,전지훈,이홍택,홍은일
키워드
사회적경제,협치,중간지원조직,자산화,서울시,충남,재단설립,포용성
다운로드

0919-자료집_제2차충남사회적경제포럼_ver.3(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문서는 2018년 9월 20일 개최된 제2회 충남 사회적경제 포럼의 발표 및 토론 내용을 정리한 자료로 사회적경제 전담기구 설치 및 운영방안을 주제로 하고 있다 서울시와 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 지원체계의 추진 현황과 과제가 소개되었고 충남 지역에 적용 가능한 전략이 논의되었다
서울시는 지난 6년간 민관협치 기반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협동사업망 사회적금융 인재 판로 등 4대 공유자원망 조성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 주도적 참여 기반을 마련하였다 자치구별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설치 사회책임조달 조례 제정 시민자산화 사례 등도 주요 성과로 언급되었다
수원시는 지속가능도시재단을 통해 지역 내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시민참여 사업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재단 설립 초기부터 거버넌스 기반 조직 운영과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 내 다양한 의제를 연계해온 경험이 소개되었다 민관 거버넌스를 통한 실행력 확보와 시민참여 플랫폼 운영이 강조되었다
토론에서는 충남의 사회적경제 전담조직재단 설립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단순한 민간위탁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 통합 자원 배분 국비사업 연계 등을 통해 실질적 역량을 갖춘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또한 시군 단위의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확대 시범사업 모델 개발 청년 인큐베이팅 및 교육 연계 전략도 제안되었다
기존 중간지원조직의 기능을 어떻게 통합하고 연계할 것인지 재단의 운영방식과 이사회 구성 예산구조 연구 기능 이전 여부 등이 설립 시 주요 쟁점으로 논의되었으며 단기 용역 계약 방식이 가져오는 한계와 비효율성도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재단은 협치 포용성 효과성을 원칙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사회적경제 생태계 전반을 조율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핵심 조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목차

제2회 충남 사회적경제 포럼
사회적경제 전담기구 설치 및 운영방안
서울시 사회적경제 지원체계 추진현황 및 도전과제
수원시 지속가능 도시재단 사례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 주즐거운밥상
사회적경제 전담조직재단 설립방안 모색 토론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