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한일공동심포지움-이동권확보를위한지속가능한교통(CNI세미나18-084)
연구정책조성/심포지엄

한일공동심포지움-이동권확보를위한지속가능한교통(CNI세미나18-084)

기간
2018. 09. 11 ~ 2018. 09. 11
연구자
권영현,오용준,임준홍,조봉운,백운성,임형빈,김원철,김형철,정봉희,이상준,정지은,유예나,정민영,최정현,이제이,김윤식,제수진,전수광
키워드
지속가능한 교통,고령자 이동권,수요응답형 교통(DRT),교통약자,자가용 라이드쉐어,일본 지방도시 사례,자율주행차,스마트폰 기반 운전 보조,지역 맞춤형 교통모델,공유경제,교통공백지역,공공-민간 협력,스마트 예약 시스템,교통 정책,기술 기반 교통안전,지역사회 참여
다운로드

CNI세미나18-08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번 세미나는 이동권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한 교통을 주제로 고령자와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정책 및 기술적 대안을 논의하는 한일 공동 심포지엄이었다 세미나는 2018년 9월 11일 한밭대학교에서 개최되었으며 충남연구원이 주최하고 대한교통학회 대전충청지회가 후원하였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고령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소개되었다 김원철 박사는 수요응답형 교통DRT 시스템의 개념과 효율성 관련 법제도 그리고 국내외 운영 사례를 분석하며 고령자에게 적합한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서 김재열 박사는 일본 지방도시의 교통공백 지역에서 자가용을 활용한 라이드쉐어 방식의 운영 사례를 통해 자원봉사자 기반의 지역 맞춤형 교통모델이 어떻게 고령자 이동성을 보완하고 있는지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친환경 및 첨단 교통수단이 중심 주제로 다루어졌다 후지와라 아키마사 교수는 자율주행차 도입이 가져올 통행 시간의 변화 도시공간 활용의 변화 가능성 그리고 위험 인식과 수용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장준이 교수는 스마트폰 GPS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운전자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며 기술 기반 교통안전 강화의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이후 종합 토론에서는 지역 기반 맞춤형 교통서비스의 지속가능성 공공과 민간의 협력 필요성 그리고 고령자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현실적 실행 전략에 대한 의견이 활발히 오갔다
이번 세미나는 고령화 사회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교통정책과 기술의 방향성을 한일 양국이 공유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특히 수요 기반 교통서비스 공유경제 모델 자율주행기술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교통 소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목차

1 MOU 충남연구원일본히로시마대학교국제협력대학원
2 Opening SpeechCongratulatory Message
3 Efforts for Elderly Mobility
Understanding DRT and Its Efficiency for Elderly Dr Wonchul Kim Korea
Utilization of Private Cars to Secure Transportation in Japanese Local Cities Dr Jae Yeol Kim Japan
4 EcoFriendly and Advanced Transport for Mobility
Utility and Disutility of Time Spent Traveling in the Era of Selfdriving Prof Akimasa Fujiwara Japan
Development of a GPSenabled Smartphone App for Improving Driving Safety Prof Junyi Zhang Japan
5 Discussion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