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진흥 시행계획 수립 용역
수탁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진흥 시행계획 수립 용역

기간
2018. 08. 03 ~ 2019. 10. 08
연구책임자
이상준
연구자
조봉운,유예나,이제이,박철희,김경태
키워드
충청남도,건축자산,기초조사,진흥시행계획,도시재생,가치판단,보전활용,지역특성
다운로드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진흥 시행계획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및 진흥 시행계획은 도시화 고령화 등으로 인해 건축자산의 훼손과 관리 한계가 커지는 현실에서 보전과 활용의 필요성이 증대되며 추진되었다 특히 유휴자원을 지역 자산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정책적 제도적 대응이 요구되었다
조사와 계획은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과 충청남도 조례에 근거한 법정계획으로 5년 단위의 중기 종합계획 형식으로 수립되었다 대상은 도내 15개 시군이며 세움터 데이터와 문헌자료 현장조사 등을 통해 건축자산 후보군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후보군은 항공사진 로드뷰 현장 방문 등을 통해 가치판단 기준에 따라 분류되었고 우수건축자산 및 진흥구역 후보도 발굴되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경관적 사회문화적 가치 등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진흥 시행계획은 총 6개 실천과제와 30여 개의 세부사업으로 구성되며 교육기록화관광연계재생지원지역공동체 연계 등 다각적 접근을 통해 건축자산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예산은 연차별로 투자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국가정책 연계와 민간 참여 활성화 관리지원센터 설립 등을 통해 실행력을 높이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진흥구역은 밀집지역 중심으로 지정해 면적 단위의 종합적 관리를 추진한다
정책 제언으로는 지속적 조사 추진 가치판단 기준 구체화 관련 부서 간 협업 강화 예산 확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건축자산의 공공적 가치를 높이고 지역 정체성을 보존하는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목차

I 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성격과 범위
3 계획의 주요내용 및 수립절차
II 건축자산 기초조사 여건분석
1 충청남도의 도시와 건축
2 건축자산 개념 및 추진절차 분석
3 관련 법제도 및 계획 검토
4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사례
III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자료 조사
1 건축자산 기초조사 추진 방안
2 건축물 후보군 조사 및 분석
3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 결과 종합
IV 충청남도 건축자산 조사 및 특성 분석
1 건축자산 후보지역 조사 범위 선정
2 건축자산 후보군 목록 항공사진 분석 방법
3 건축자산 후보군 목록 가치판단 기준 설정
4 건축자산 현장조사 및 가치판단
5 충청남도 건축자산 가치판단 결과 및 특성 분석
V 충청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1 충청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의 개요
2 충청남도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기본구상
3 충청남도 건축자산 진흥 실천과제 및 세부 실행계획
4 충청남도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방안
VI 주요 쟁점 및 정책 제언
1 주요 쟁점
2 중앙정부 정책 제언
제언 1 충청남도 건축자산 기초조사의 지속적 추진
제언 2 건축자산 가치판단 기준 구체화
제언 3 건축자산에 대한 관련부서 인식 공유
제언 4 건축자산에 대한 조사 내용 개선
제언 5 예산 지원 확대
VII 부록
1 건축협정 표준규약
2 충청남도 건축위원회제10차 심의의견 및 조치사항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