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조직통합의 이론적 근거로는 조직의 하위 단위가 협동하는 상태를 조직융합으로 정의하고 효과적인 통합을 위해 문화 가치 관리체제의 통일이 중요하다는 경영학적사회심리학적 분석이 제시되었다 법률적으로도 비영리 목적의 재단 설립이 가능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주민복리와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사업 수행이 허용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확보된다
정책 필요성 측면에서 중앙정부는 자치분권을 확대하고 있으며 농식품부는 농촌 정책의 시군 이양과 공공기관 중심의 운영으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역단위에서 통합된 중간지원조직이 필요하며 주민주도형 사업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통합형 조직 구상에서는 재단법인 형태가 공공성 지속가능성 연계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민간위탁 형태는 운영의 유연성과 효율성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으로는 소규모 재단 또는 사단법인의 형태를 장기적으로는 광역 차원의 대규모 재단법인을 고려할 수 있다
현장 인터뷰와 정책수요자 의견에서도 마을만들기와 소득사업의 분절적 운영에 따른 비효율성이 지적되었고 융복합적 통합조직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관련 센터의 점진적 분리독립과 통합 추진을 병행하며 재단법인 설립을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였다
목차
충남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현황
법률타당성 정책필요성 기초 검토
조직형태별 타지역 사례
조직형태별 장단점 비교
충남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통합구상안
결론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구자인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제7회 마지연 대화마당(청양) (구자인,장광석,권봉관) 2016. 09. 23
제3회 마지연 대화마당(논산) (구자인,임경수, 문요한, 안충호) 2016. 05. 20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제8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7-115)(윤흔상,구자인) 2017. 09. 01
제5회 마지연 대화마당(보령)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7. 22
-
정석호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2018. 02. 23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1.공주시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2. 27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2.금산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2차년도) 2018. 04. 30
충남 광역 마을동아리 육성 사업 2021. 02. 01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3.부여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5. 08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
김현숙
열린충남64호 2013. 09. 01
제2회 충남농어업6차산업화포럼 (황길식) 2012. 05. 10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협의회 출범식(이은주) 2015. 12. 17
제1회 충남 농어업 6차산업화 포럼 (김태곤) 2012. 04. 05
으뜸Q마크 운영현황 및 활성화 전략 2012. 02. 01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및 2021년 충남 농정시책 구상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20-032) 2020. 08.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