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서천군은 읍면 복지 기능을 강화하고 주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 체계를 구축한 사례로 소개되며 이 과정에서 마을이 중심이 되는 복지 실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주민자치회와 같은 추진주체들이 중심이 되어 마을의 복지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구조가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며 마산면의 사례에서는 실제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지역의 노인 돌봄과 복지서비스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경험이 공유되었다
농촌은 고령화 인구감소 일자리와 복지 인프라 부족 등 구조적인 취약성을 안고 있으며 이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마을공동체복지는 단순한 복지 서비스 제공을 넘어서 노인이 익숙한 공간에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서 한발 더 나아가 공동체 안에서 능동적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이징 인 커뮤니티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농촌복지공동체의 성공 요인으로는 주민 주도의 활동과 민주적 참여 지역 역사성과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연대감 정서적물리적 소통이 가능한 플랫폼의 존재 정부 지원에 앞서 내발적 동력이 형성된 마을이 꼽힌다 공동체성에 기반한 자생적 복지 모델은 상호 돌봄의 문화를 유지하면서도 공적 복지 체계와의 유기적 접목이 가능해야 지속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입장이 나온다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는 기존의 시설 중심 보건복지 체계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이를 위해서는 주민 참여 물리적 인프라 프로그램 지역 리더십이 핵심 요소로 작용해야 한다 일본의 미나미 의료생협 사례처럼 주민이 직접 주도하는 복지 거버넌스는 마을을 생애전주기 돌봄공동체로 전환하는 데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마을의 역사와 의미를 주민들이 함께 이해하고 공유하는 과정은 공동체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복지공동체로 발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마을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로 기능하며 생애 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돌봄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된다
목차
마을공동체복지와 추진주체
개회사 및 개요
추진목적 및 프로그램 일정
1부 주제발표
행복한 복지의 시작은 마을이 중심이다
읍면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 복지 서천군 마산면 사례
2부 종합토론
마을공동체복지와 추진주체
쟁점토론 주제 및 질의응답
차기 일정 및 정리
월별 운영계획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윤정
농산어촌 유토피아 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시범계획 수립 2019. 09. 30
2019년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19. 05. 31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2019년 당진시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컨설팅 2019. 02. 28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20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20. 03. 25
-
구자인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제7회 마지연 대화마당(청양) (구자인,장광석,권봉관) 2016. 09. 23
제3회 마지연 대화마당(논산) (구자인,임경수, 문요한, 안충호) 2016. 05. 20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제8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7-115)(윤흔상,구자인) 2017. 09. 01
제5회 마지연 대화마당(보령)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7. 22
-
정석호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2018. 02. 23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1.공주시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2. 27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2.금산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2차년도) 2018. 04. 30
충남 광역 마을동아리 육성 사업 2021. 02. 01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3.부여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5. 08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
황유리
제3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2021-017) 2021. 07. 30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19년 당진시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컨설팅 2019. 02. 28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2019년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19. 05. 31
제4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2021-026) 2021. 09. 24
-
이혜란
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통합교육 결과분석 및 인권친화적 일터 가이드라인 도출 연구 2022. 04. 18
충남 광역 마을동아리 육성 사업 2022. 01. 01
2018년 제3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_3농혁신대학 대체(CNI세미나2018-036) 2018. 04. 19
2020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20. 03. 25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22년 제5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 2022-077) 2022. 10. 28
-
장윤수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2018. 02. 23
2018년 제3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_3농혁신대학 대체(CNI세미나2018-036) 2018. 04. 19
충남마을만들기 제1회 대화마당(CNI세미나2019-021) 2019. 03. 29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1.공주시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2. 27
충남마을만들기 제2회 대화마당(CNI세미나2019-035) 2019. 04. 26
충남마을만들기 제3회 대화마당(CNI세미나2019-047) 2019. 0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