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연구(3차년)
수탁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기후환경 영향연구(3차년)

기간
2019. 08. 27 ~ 2020. 08. 25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윤종주,김종범,신우석,정석한,윤수향,황은영,김아람
키워드
화력발전소,기후환경영향,대기오염물질,비산먼지,생태환경모니터링,기후정보시스템,사회적비용,기여도평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화력발전소 주변지역의 기후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충청남도의 3차년도 연구는 대기질 생태환경 사회적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장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내용은 발전소 배출 실태조사 미기후 및 대기질 모니터링 생태계 영향 분석 비산먼지 배출 모델 개발 정보시스템 구축 등으로 구성된다
대기환경 부문에서는 국가배출량 자료CAPSS 굴뚝자동측정기기TMS 분석을 통해 화력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였고 지역별 고정측정망과 미기후 측정을 통해 발전소 인근의 대기질 변화를 수치화하였다 실시간 비산먼지 측정 시스템과 조기경보 시스템도 개발되어 대응 체계가 강화되었다
비산먼지 영향은 발전소 내 저탄장 회처리장 등에서의 실제 배출량을 기반으로 모델링하였으며 Flux 예측 모델과 능동 제어방안이 도출되었다 정량적 비산먼지 배출량 산정법이 새롭게 개발되었고 환경부와 협업을 통한 기준 설정도 논의되었다
생태환경 영향 평가에서는 식물 곤충 포유류 어류 등을 중심으로 발전소 인근 생태계를 장기 모니터링했다 중금속 축적 현황과 생물 다양성 저하를 종합 분석하고 주요 취약종을 선정해 향후 보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했다
사회적 비용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이 주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고 건강보험 DB를 활용한 역학적 상관분석으로 입원율 사망률 진료비 등과의 연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발전소 운영에 따른 외부비용 산정과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강조했다
종합적으로 연구는 실시간 환경정보 제공 플랫폼 거버넌스 체계 구축 민관 협력 기반 마련 등을 통해 과학적 근거 기반의 환경정책 수립을 뒷받침하고자 했으며 다음 연도 연구에서는 정책 실행 모델 구체화 및 실증적 적용이 이어질 예정이다

목차

Ⅰ Part 0 연구 종합
1 서론
2 주요 연구결과
3 세부과제별 정책사업 제안
Ⅱ Part 1 대기환경정보구축
1 서론
2 화력발전소 배출 실태조사
3 미기후 모니터링
4 고정측정망 운영
5 기후환경정보 시스템 구축
6 생활권 대기질 정보 제공
7 지역 대기오염물질 기원 및 기여도 추정
8 거버넌스 및 환류체계 구축
9 결론 및 제언
Ⅲ Part 2 대기질 측정분석
1 서론
2 화력발전소시설 주변지역 현황 조사분석
3 주변지역 지표 대기오염물질 조사
4 실시간 옥외 저탄장 비산먼지 배출량 산정 및 관리방안 도출
5 비산먼지 조기경보 시스템 도입을 위한 모델식 개발과 최적화방안 연구
6 화력발전 회처리장의 비산먼지 배출량 조사기법 개발
7 결론 및 제언
Ⅳ Part 3 사회적비용 평가 분야
Ⅴ Part 4 생태환경 모니터링
1 서론
2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현황분석
3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취약종 선정 및 향후 연구방향
4 결론 및 제언
5 부록
Ⅵ Part 5 참고문헌
Ⅶ Part 6 용어사전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