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
정책지원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

기간
2020. 01. 06 ~ 2020. 07. 31
연구책임자
박근오
키워드
생활안전,어린이,점검표,안전온도,충청남도,만족도,개선방안,교육
다운로드

★[정책지원]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에서 2017년부터 시행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사업의 5차례 시행 결과를 종합 분석하고 생활안전점검의 개선방안과 어린이 안전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한 자료다 사업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보호자가 함께 가정 내 안전위험 요소를 자율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생활 속 안전문화 정착과 실천을 유도하는 데 있다
총 5회에 걸쳐 시행된 생활안전점검 결과 평균 생활안전온도는 점검 시기별로 꾸준히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점검을 통해 가정 내 안전의식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실방 주방 옥외 세 영역에서 각각 20개 항목에 대해 점검이 이루어졌으며 특정 문항에서는 부정적 응답률이 높아 개선의 여지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과 보호자 모두 생활안전점검 사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지속적인 시행을 희망하는 비율도 높았다 학생들은 점검을 통해 안전수칙을 더 잘 지키게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보호자들도 자녀의 안전의식 향상과 가정 내 안전점검 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개선방안으로는 안전점검의 항목을 보다 현실적인 위험요소 중심으로 개편하고 지역 간 편차를 줄이기 위한 보완이 제안되었다 아울러 ARVR을 활용한 안전 콘텐츠 개발 폐교 활용 안전체험장 설치 어린이 안전커뮤니티 맵핑 등 체험형 교육 확대 방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안전점검 결과를 활용한 정책화가 강조되었으며 이를 위해 지자체와 교육청의 협업 강화 정기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 시민참여형 안전관리체계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사업은 가정 중심의 생활안전교육이라는 새로운 접근을 통해 실효성 있는 안전문화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에는 보다 정교한 점검체계와 교육방식 도입을 통해 어린이와 가정의 안전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생활안전점검 시책 개요
제1절 생활안전점검 시책
1 생활안전점검이란
2 충남 어린이 생활안전 관련 시책
제2절 생활안전점검 구성 및 프로세스
1 생활안전점검 구성요소
2 점검 대상 및 방법
제3장 생활안전점검 결과 종합분석
제1절 분석의 개요
1 분석범위 및 방향
2 분석방법
제2절 일반적 특성 분석
1 조사항목 개요
2 응답자 특성
제3절 월별 안전온도 점검 결과 분석
1 월별 안전온도 점검 결과
2 월별 안전온도 변화 추이 분석
3 안전온도 변화량 비교 분석
4 점검항목별 상세분석
제4절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
1 학생 대상 만족도 분석결과
2 보호자 대상 만족도 분석결과
제4장 생활안전점검 개선방안
제1절 생활안전점검 시책의 개선방안
1 분석결과의 요약
2 안전점검의 개선 방안
제2절 일상생활 속 어린이 안전을 위한 개선방안
1 어린이를 위한 안전커뮤니티 맵핑
2 어린이 대상의 ARVR 활용 재난안전 콘텐츠 개발 및 보급
3 어린이 안전관리 기본계획 수립
4 폐교를 활용한 안전교육 체험장 설치
5 그 외 안전문화 개선 사례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요약
제2절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