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추진결과 참여자 만족도 조사결과(4~6월) 분석](/images/main/contents/mi_cover2.jpg)
내용
충청남도는 가정 내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프로그램을 추진하며 46월 동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6047명의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사전에는 안전점검 경험이 없었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 스스로 점검하는 학생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자율적인 안전의식 향상의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안전점검은 주로 부모와 함께 이루어졌으나 점차 학생 스스로 실시한 비율이 높아졌으며 이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점검 경험이 없는 학생 중 다수는 향후 생활 속 안전문화 계획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으며 교육과 홍보의 지속적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점검 효과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과반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효과를 느낀 비율은 6월에 더 높아져 점검의 효용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군에서는 효과성이 낮게 평가되어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점검 결과 취약한 공간으로는 거실방과 부엌이 가장 많이 지목되었으며 이는 실내 공간에 대한 안전 강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부엌의 위험성이 월별로 증가 추세에 있어 화재가스 관련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옥외보다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다른 학교로의 점검 확대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9 이상이 찬성 의사를 밝혔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긍정적 수용 가능성과 정책 확대의 타당성을 보여준다 반대 응답은 일부 군 지역에서 다소 높았으며 이는 지역 간 인식 차이를 반영한다 향후 전 시군 확대를 위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월별 비교 결과 안전점검 경험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 저학년보다 고학년 면동지역 학생의 증가폭이 컸다 점검 동행자 측면에서는 나혼자 응답이 증가하면서 자율 점검 가능성이 강화되었고 이는 안전습관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안전점검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 응답이 늘고 모호한 응답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사업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 안전문화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 성과분석과 피드백 체계 구축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부모와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구조적 기반 속에서 안전점검 문화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점검 경험이 없는 학생 중 다수는 향후 생활 속 안전문화 계획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으며 교육과 홍보의 지속적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점검 효과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과반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효과를 느낀 비율은 6월에 더 높아져 점검의 효용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시군에서는 효과성이 낮게 평가되어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점검 결과 취약한 공간으로는 거실방과 부엌이 가장 많이 지목되었으며 이는 실내 공간에 대한 안전 강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부엌의 위험성이 월별로 증가 추세에 있어 화재가스 관련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옥외보다는 실내 공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다른 학교로의 점검 확대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9 이상이 찬성 의사를 밝혔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긍정적 수용 가능성과 정책 확대의 타당성을 보여준다 반대 응답은 일부 군 지역에서 다소 높았으며 이는 지역 간 인식 차이를 반영한다 향후 전 시군 확대를 위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월별 비교 결과 안전점검 경험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고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 저학년보다 고학년 면동지역 학생의 증가폭이 컸다 점검 동행자 측면에서는 나혼자 응답이 증가하면서 자율 점검 가능성이 강화되었고 이는 안전습관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안전점검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역시 긍정적 응답이 늘고 모호한 응답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사업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자율적 안전문화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 성과분석과 피드백 체계 구축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부모와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구조적 기반 속에서 안전점검 문화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목차
I 분석의 개요
1 분석목적 및 주요내용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II 월별 분석결과 요약
1 4월 분석결과
2 5월 분석결과
3 6월 분석결과
III 46월 설문 결과 비교분석
1 유형별 결과 비교분석
2 종합분석 및 시사점
IV 결론 및 제언
1 분석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안전문화 생활화 조성을 위한 제언
별첨
1 분석목적 및 주요내용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II 월별 분석결과 요약
1 4월 분석결과
2 5월 분석결과
3 6월 분석결과
III 46월 설문 결과 비교분석
1 유형별 결과 비교분석
2 종합분석 및 시사점
IV 결론 및 제언
1 분석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안전문화 생활화 조성을 위한 제언
별첨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근오
2017년 제2차 공공투자연구포럼(CNI세미나2017-004) (박근오,심우재,정형철) 2017. 02. 03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시군 담당공무원 워크숍(CNI세미나2018-017)(신진동,박근오) 2018. 03. 15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 2020. 01. 06
[자체현안]탈석탄 및 그린뉴딜 추진 전략계획 수립 2020.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