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세계시장 불황 우리나라 기업의 경쟁력 저하 등으로 청년들의 고용시장 여건이 나빠지고 있고 충남도 청년 일자리의 경우 전국 대비 고용률 실업률이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여러 문제가 있음
상기 배경에서 도내 청년 일자리 정책의 실태 및 현황을 알아보고 관련 문제점을 진단하며 도내 청년들의 관련 의견을 수렴하여 청년 일자리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함
충남도는 구직 채용 인프라 근속 등 일자리 관련 제諸분야를 다루는 중앙에 비해 일자리 대책이 단편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역특화 대책 코로나 관련 대책 마련이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임
한편 충남도 내 주요대학 대학생 및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를 실시하여 노동시장의 현황 청년취업 미스매칭 지원사업 평가에 대한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함
도내 청년들은 현재 뿐 아니라 미래에도 청년 일자리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며 코로나19가 이러한 상황에 주 이유 중 하나라고 응답함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 조건과 현실에 미스매칭도 큰 편이며 지원사업의 효율성도 높지 않다는 의견임
앞서 실시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정주환경 및 인프라 청년 일자리 교육 및 홍보 등 3개의 정책방향과 이에 수반되는 9개 전략을 제시함
상기 배경에서 도내 청년 일자리 정책의 실태 및 현황을 알아보고 관련 문제점을 진단하며 도내 청년들의 관련 의견을 수렴하여 청년 일자리 정책방향을 제언하고자함
충남도는 구직 채용 인프라 근속 등 일자리 관련 제諸분야를 다루는 중앙에 비해 일자리 대책이 단편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역특화 대책 코로나 관련 대책 마련이 부족하다는 점이 한계임
한편 충남도 내 주요대학 대학생 및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FGI를 실시하여 노동시장의 현황 청년취업 미스매칭 지원사업 평가에 대한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함
도내 청년들은 현재 뿐 아니라 미래에도 청년 일자리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며 코로나19가 이러한 상황에 주 이유 중 하나라고 응답함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 조건과 현실에 미스매칭도 큰 편이며 지원사업의 효율성도 높지 않다는 의견임
앞서 실시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 정주환경 및 인프라 청년 일자리 교육 및 홍보 등 3개의 정책방향과 이에 수반되는 9개 전략을 제시함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충남 청년 일자리 정책현황 및 문제점
3 도내 청년 의견조사 결과
4 충남 청년 일자리 정책방향
2 충남 청년 일자리 정책현황 및 문제점
3 도내 청년 의견조사 결과
4 충남 청년 일자리 정책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양중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창업과 도전을 보장하는 기업생태계(김양중) 2015. 04. 24
충남 지역인재 육성방안 워크숍-지역경제를 이끄는 맞춤형 인적자본투자 정책방향 모색(김양중) 2015. 05. 08
충청남도 투자통상분야의 장?단기 비전과 정책방향 (김양중,김익성,오수용,박종찬) 2009. 12. 29
사회적경제연구회 제10회 워크숍 '충남사회적경제 생태계분석' (김양중,이은애,임준홍) 2011. 09. 22
충남 서비스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99) (배동수,김양중,김국진) 2017. 09. 07
-
송영현
(해외출장보고서)랴오닝성사회과학원 MOU 체결 및 학술세미나 개최 2019. 08. 20
충남연구원_랴오닝사회과학원 MOU체결 및 학술교류회 2019. 08. 20
충남 남북교류협력 기초연구 : 개성특별시를 중심으로 2020. 04. 01
충남형 공유경제 모델 개발 2019. 04. 23
폐교를 활용한 농촌체험휴양마을 조성 구체화 방안 2018. 09. 12
제1회~5회 환황해포럼의 주요 정책이슈 분석 2020. 02. 01
-
정회민
2020년 충남도정에 바란다 (1) : 소상공인편 2020. 01. 20
충청남도 소통협력공간 조성 기본계획 및 타당성 분석 연구 2020. 0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