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본 보고서는 국내 및 충청남도의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산업 및 비산업 부문으로 나누어 사업비용 대비 감축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향후 충남 지역의 감축사업 우선순위 설정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산업부문에서는 정유 산업기타 공공 요업 화공 순으로 높은 감축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폐열회수와 연료전환 사업이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분야의 시멘트 원료전환과 공정개선 에너지 수요 분야의 고효율 설비교체 등이 대표적이다
비산업 부문에서는 충남 외 지역에 비해 충남 지역의 사업비용효과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토지녹지 부문은 충남이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충남 외 지역은 수송 농업축산 건물 폐기물 부문에서 각각 충남보다 1146배 516배 103배 83배 높은 효율성을 기록하였다 건물 부문에서는 충남도 일부 사업건축 효율화 탄소포인트제 등에서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며 수송과 농업축산 부문에서는 사업 다양성과 효과 측면에서 열세를 나타냈다
국내 등록된 온실가스 외부사업은 총 407건이며 이 중 에너지 수요 분야의 연료전환 및 고효율 설비 교체 폐열 활용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CDM사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일반외부사업으로는 연료전환 건물 난방방식 전환 목재펠릿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분해로 개량이나 폐열회수형 히트펌프 설치 소각로 폐열 활용 등이 높은 단위 감축효과를 기록했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일정 기준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 업체를 대상으로 정부와 협의 하에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제도이며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병행하여 운영된다 이 제도를 통해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의 인벤토리 구축과 감축 이행도 병행되고 있다
충남은 향후 소규모 감축사업을 통합하여 중규모 이상으로 확장하고 도 차원의 계획과 지원을 통해 각 시군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폐열회수와 연료전환과 같은 고효율 사업 발굴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충남 외 지역의 선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초기부터 감축을 주목적으로 삼는 사업을 설계하고 특히 토지녹지 부문에서의 강점을 기반으로 사업 확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비산업 부문에서는 충남 외 지역에 비해 충남 지역의 사업비용효과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토지녹지 부문은 충남이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충남 외 지역은 수송 농업축산 건물 폐기물 부문에서 각각 충남보다 1146배 516배 103배 83배 높은 효율성을 기록하였다 건물 부문에서는 충남도 일부 사업건축 효율화 탄소포인트제 등에서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며 수송과 농업축산 부문에서는 사업 다양성과 효과 측면에서 열세를 나타냈다
국내 등록된 온실가스 외부사업은 총 407건이며 이 중 에너지 수요 분야의 연료전환 및 고효율 설비 교체 폐열 활용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CDM사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일반외부사업으로는 연료전환 건물 난방방식 전환 목재펠릿 활용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분해로 개량이나 폐열회수형 히트펌프 설치 소각로 폐열 활용 등이 높은 단위 감축효과를 기록했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일정 기준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소비 업체를 대상으로 정부와 협의 하에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제도이며 인센티브와 패널티를 병행하여 운영된다 이 제도를 통해 자발적 감축을 유도하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의 인벤토리 구축과 감축 이행도 병행되고 있다
충남은 향후 소규모 감축사업을 통합하여 중규모 이상으로 확장하고 도 차원의 계획과 지원을 통해 각 시군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폐열회수와 연료전환과 같은 고효율 사업 발굴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충남 외 지역의 선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초기부터 감축을 주목적으로 삼는 사업을 설계하고 특히 토지녹지 부문에서의 강점을 기반으로 사업 확대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연구개요
2 국내 온실가스 감축 사업 현황
3 국내 및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 사업비용효과 분석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참고자료
2 국내 온실가스 감축 사업 현황
3 국내 및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 사업비용효과 분석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
신우석
충청남도 블루카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CNI세미나2017-164)(신우석,류종성,정익교,안지환) 2017. 12. 07
충청남도 수산부산물의 재활용 및 사업화 모색(CNI세미나2018-031) 2018. 04. 16
부남호 하구내측 염수유입에 따른 육상생태계 영향 평가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CNI세미나2019-081) 2019. 09. 02
오염물질 배출시설 주변지역 과거 환경영향 기록복원 기초연구 2019. 06. 01
충남 온실가스 감축역량 강화를 위한 해양연안 부문 적용확대 방안 2020. 04. 21
충청남도 수산부산물 재활용 추진연구 2018. 0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