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제4단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제4단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20. 07. 03 ~ 2021. 12. 28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박상현,최정호,조병욱,이병구,이무규
키워드
수질오염총량관리,천안시,금강수계,오염부하량,목표수질,시행계획,병천A,미호B
다운로드

제4단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천안시 제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은 병천A 미호B 유역을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30년까지 BOD와 TP 두 오염물질에 대한 부하량 관리와 수질개선을 목표로 수립되었다 시행계획은 금강수계법과 기술지침에 따라 천안시장이 주체가 되어 충청남도의 승인을 받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병천A 유역은 목표수질 BOD 23mgL TP 0105mgL에 비해 실제 평가수질은 각각 32mgL 0155mgL로 초과 상태였고 미호B는 BOD 58mgL TP 0160mgL로 역시 기준을 초과했다 축산계 토지계 비점오염원이 부하량 초과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기준년도인 2019년부터 시작해 인구 물사용량 축산 사육두수 산업폐수 및 토지이용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오염원 현황과 2030년까지의 변화를 예측했으며 병천A 유역의 축산 사육두수는 260만두를 넘고 미호B도 25만두 이상으로 고정적 부담 요인이었다
BOD 및 TP의 발생배출 부하량은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로 분류해 산정되었고 축산계는 병천A에서 BOD 약 35000kg일 TP 약 3300kg일을 초래하는 가장 큰 오염원으로 나타났다 삭감계획을 반영한 최종 배출부하량도 여전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지역개발부하량은 연도별로 예측되었으며 병천A의 경우 2030년까지 누적 BOD 개발부하량은 1838kg일 TP는 806kg일로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유보량과 삭감량이 세부적으로 산정되었고 향후 개발을 고려한 여유량도 반영되었다
이 계획은 수질 개선뿐 아니라 천안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고려해 실현가능한 삭감수단을 제시하고 있으며 점오염원 저감시설 확대 비점오염 제어 강화 오염원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을 중심으로 이행될 예정이다

목차

Ⅰ 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 수립주체
2 법적근거 및 시행절차
3 계획수립 목적 및 범위
4 추진경과
5 총량관리 목표
Ⅱ 시행계획 요약
1 시행계획 대상유역 및 수질현황
2 오염원 현황 및 전망
3 오염부하량 현황 및 전망
4 지역개발계획
5 삭감계획
6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7 할당대상시설 지정현황
8 삭감이행계획
9 시행계획 이행관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