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재작성 용역
수탁

공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재작성 용역

기간
2020. 07. 21 ~ 2021. 12. 24
연구책임자
사공정희
연구자
정옥식,백승희,장하라
키워드
공주시,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생태적 가치,GIS,토지피복도,환경적 측면,생태자연도
다운로드

2020_공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재작성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재작성 연구는 도시 환경계획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생태적 가치 보전을 위한 공간관리 수단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본 지도는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2에 근거해 법적 작성 의무가 있으며 도시기본계획과 관리계획 수립의 핵심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 범위는 공주시 전역으로 총 100개 지점에서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식생 현장조사가 이뤄졌으며 15000 축척의 고정밀 데이터로 도시생태 정보를 구축했다 조사 자료는 GIS DB로 구축되었고 비오톱 유형 및 가치 평가에 활용되었다
비오톱은 생물 서식이 가능한 최소 공간 단위로 정의되며 도시 내 생태적 균형과 사회적 활용 가능성까지 반영해 평가되었다 평가 기준은 구조적 자연성 환경적 측면으로 나뉘며 총합 평점을 통해 등급이 부여되었다
생태현황지도 작성은 토지피복도 정사영상 임상도 등 다양한 공간자료와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했으며 도시형 단독주택 저층 공동주택 전통시장 등 도시공간의 비오톱 유형도 세분화되었다 멸종위기종 출현지역은 별도로 분석되어 보호 관리방안이 제시되었다
활용 방안은 국토 및 환경계획 연계 도시계획 반영 개발행위 허가 검토 기준 등으로 제시되며 저탄소 녹색도시 및 도시생태축 구축의 기반이 된다 또한 시민단체와 연계한 환경교육 및 자연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시민 참여 기반도 확대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시 내 생태적 우수지역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핵심도구로 기능하며 향후 도시환경 변화에 맞춰 5년마다 주기적으로 갱신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공주시의 친환경 도시관리 기반을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Ⅱ 생태비오톱현황지도의 의미
1 도시생태현황지도 정의 및 개념
2 공주시 도시생태현황지도 구축 전략
Ⅲ 공주시 생태현황지도 구축
1 기초자료 수집
2 주제도 구축
3 비오톱 가치평가
Ⅳ 생태현황지도 활용방안
1 국토ㆍ환경연동제의 기반
2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의 기반
3 도시기본계획 및 관리계획의 기반
부록
1 전체 식물상 목록
2 식생군락별 층위 및 구조적 특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