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여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정책지원

부여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1. 09. 10 ~ 2021. 11. 30
연구책임자
조병욱
연구자
김홍수,박상현,최정호
키워드
수질,금본L,부여군,오염원,하수처리시설,삭감부하량,지역개발,태양광발전
다운로드

부여군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2020년도 금강수계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을 정리한 것으로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금본L 단위유역의 BOD 수질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목표수질은 BOD 30mgL로 설정되었으며 실제 수질은 20182020년 평균 32mgL로 초과되었다 이는 평가기간 중 수질이 목표를 지속적으로 초과한 결과로 수질개선이 기대만큼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2020년 기준 부여군은 10개 이상의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운영하였으며 이 중 대부분이 기준치 이하의 방류수질을 유지하였다 특히 임천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0일 규모로 신설되어 BOD 2754kg일을 삭감하는 데 기여하였다 반면 기존 시설 중 일부는 유량 증가 및 수질 변동이 컸으며 환경기초시설 외의 다른 삭감 수단은 사용되지 않았다
생활계 오염원은 인구 감소로 인해 점차 줄었으나 축산계는 돼지 가금류 산양 등 일부 축종에서 사육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무허가 축사 적법화로 인한 적법화 축종 증가가 전체 오염부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산업계 오염원은 폐수 발생량이 소폭 증가했으며 산업폐수배출업소 수도 유지되고 있다
지역개발사업 부하량 관리는 계획 대비 잔여량이 충분해 현재까지는 점비점 오염원 전환 필요성이 없다고 평가되었다 다만 2020년 기준 61건의 개발사업이 협의되었고 15건이 준공되면서 점 030kg일 비점 919kg일의 BOD가 추가로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개발사업은 삭감시설 설치 없이 진행되었으며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와 저감 노력이 부족하였다
2020년도 삭감부하량 실적은 계획 대비 약 85 수준인 2754kg일로 목표 3219kg일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 실적은 임천마을하수처리시설의 신설로 대부분 달성되었으며 관거정비 오염하천 정화사업 비점오염 저감시설 등은 전혀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총 투자비 7480백만원은 전액 환경기초시설에 집중되었다
결론적으로 부여군은 일부 수질개선성과를 달성하였으나 전반적인 수질은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향후에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실효성 있는 관리와 다각적인 삭감수단 도입이 요구된다 현재 부하량 관리 상황은 양호하나 장기적으로는 사육두수 증가와 개발사업 누적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5 삭감부하량 관리실적
6 삭감시설 투자실적
Ⅳ 총 평
Ⅴ 조치사항 및 향후 관리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