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로 인해 단순히 연결통로로만 기능하던 도로에 대하여 사람들은 도로 내에서의 즐거움이나 아름다움을 찾는 문화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국외에서는 도로의 관광적경관적 가치를 제고하여 이용자에게 보다 즐겁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내 관광자원 및 지역 자체에 대한 방문과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예 미국 경관도로 일본 풍경가도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도로의 관광적경관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1990년 이후 추진되고 있으나 그 실적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개선으로 최근에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도로의 관광적경관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국가관광도로 조성을 위한 정책적 추진이 모색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정부 정책에 대응하고 지역의 관광자원 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충청남도 관광도로 조성 전략이 마련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충청남도 관광도로 조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광도로로 조성 가능한 도로와 노선을 조사발굴하고 이를 하나의 노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도로의 관광적경관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관광조로 조성을 위해 충청남도 관광도로 노선 발굴 및 관광도로 정비지구를 설정하였으며 이들의 조성방안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충청남도 관광도로 발굴을 위해 도로를 대상으로 1도로 주변 자연환경 분석 2도로 주변 관광자원 분석 3도로 주변 개발가용지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1 도로 주변 자연환경 분석
관광도로로 조성 가능한 도로의 유형을 입지한 지역의 지형적자원적 특성에 기초하여 유형화시키고 유형화된 도로별 노선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관광도로 유형은 해안가를 중심으로 한 해안형 산악지역 및 고도가 높은 지역에 입지한 산악형 지역 내 하천과 접하여 조성된 수변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분석은 각각의 자원과의 접근성 거리해안형 1 산악형 고도 100m 이상 수변형 1 5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안형은 서해안과 접한 7개 시군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연결된 형태로 분석되었다 산악형은 차령산맥과 금북정맥이 통과하고 있는 충남 내륙과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변형은 금강과 삽교천 지천 등 주요하천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금강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많이 도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도로 주변 관광자원 분석
관광도로에서 요구되는 관광자원 경관자원과의 연결성 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에 산재한 관광자원 경관자원을 자연 및 생태환경자원 관광장소 및 시설 자원 문화시설 시군별 경관자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접근성5 10이 높은 도로의 규모와 위치를 분석하였다 대부분 관광자원 및 경관자원이 최소 1개 이상의 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적으로 소재지 등 도시에 위치한 자원은 그렇지 못한 자원들에 비해 연결된 도로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해안가 등에 위치한 자원은 연결성은 높지만 연결된 도로가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향후 관광도로 조성 시 노선이 명확해 진다는 장점과 함께 접근성에 한계가 분명하다는 한계도 함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개발가능지역 분석
도로 주변 개발가능한 토지를 발굴하여 관광도로 정비지구 조성에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도로 주변 국공유지 시도유지 등의 지목별 소유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로 주변에 충분히 활용가능한 토지가 산재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토지들이 도로와 접해있다고 활용하는 것이 아닌 앞 선 분석을 통해 발굴된 노선 중 활용성 관광성이 높은 지역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토지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발굴된 관광도로 노선안에 대한 1지자체 의견과 수요를 반영한 조정 2충청남도 관광도로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1 지자체 의견 반영
먼저 지자체의 의견과 수요를 수렴하여 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앞 선 분석을 통해 발굴된 노선안을 중심으로 지자체에서 제안한 지역별 노선안을 결합하여 분석하여 지역에서 수용하고 지역 간관광자원 간 유기적인 연계가 가능한 7개의 관광도로 노선서해안관광도로 1개노선 내륙순환관광도로 1개노선 내부순환관광도로 4개노선 특화관광도로 1개노선을 선정하였으며 노선별 요구되는 관광도로 정비지구도 제시하였다
2 관광도로 조성 방안
기 도출된 충청남도 관광도로 노선에 대한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가관광도로 조성 가이드라인안 미국 및 일본 등 국외에서 추진하고 있는 관광도로경관도로 풍경가도 정책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충청남도 관광도로 노선과 정비지구를 중심으로 특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추진과제와 사업은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3 연구 수행절차 및 목차 6
제2장 관련 연구 및 사례 8
1 관광도로 개념 및 특성 8
2 관광도로 관련 동향 및 사례 12
3 종합 및 시사점 17
제3장 충남 도로 현황 및 특성 분석 18
1 연구 분석 방법 18
2 도로 현황 20
3 도로 주변 자연환경 분석 22
4 도로 주변 관광자원 분석 31
5 도로 주변 개발가능지역 분석 43
제4장 충남 국가관광도로 수요 분석 47
1 충남의 국가관광도로 노선 수요 조사 47
2 1차 수요 조사 47
3 2차 수요 조사 52
4 국가관광도로 수요 분석 57
제5장 충남 국가관광도로 조성 방안 59
1 충남 국가관광도로 노선 선정을 위한 주요 거점 59
2 충남 국가관광도로 특성별 노선 선정 및 조성 방안 61
3 충남 국가관광도로 정비지구 선정 및 조성 방안 74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77
1 연구의 요약 및 정책제언 77
2 향후 연구과제 80
참고문헌 82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봉운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17-081) (최덕림,조봉운) 2017. 07. 11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
-
권미정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청양군 지역발전 추진전략 워크숍 (김양중,김경태,권미정) 2011. 06. 17
충청남도 문화소외계층 정책지원 방안 2013. 02. 01
충남정책지도 2022-7호 동서트레일과 충남의 활용 방안 2022. 08. 12
2016년 전국체육대회를 통한 도시마케팅 및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2013. 08. 22
충청남도 문화예술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용역 2013. 09. 30
-
전수광
(CNI세미나 2024-50)충남연구원 우리술현장 연구회 충남 우리술의 특징과 발전과제 세미나 2024. 11. 15
내포신도시 홍예공원 민관협력형 관리운영모델 연구 2024. 07. 02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023. 10. 21
2023년 열린충남 가을호 2023. 09. 01
충남정책지도 2022-7호 동서트레일과 충남의 활용 방안 2022. 08. 12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연구 2023. 10. 05
-
김경태
스포츠 대회 유치를 통한 청양지역활성화 방안 토론회(최인호,김경태,박근수) 2014. 02. 13
마리나 등 해양레저시설 조성과 충남 해양관광 발전전략 전문가 워크숍(김영준,이종훈,김경태) 2015. 02. 05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충남 환황해권역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 및 워크숍(김경태,강정구,최미순) 2015. 05. 14
태안군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태안 협약식 2015. 04. 03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