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이 연구는 2011년에 제도화된 이후 10년 정도 운영되어 오고 있는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의 운영성과를 분석하고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주민참여예산제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체계를 도출하고 그에 근거하여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의 운영현황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성과를 재정의 민주성 예산과정의 투명성 사회적 형평성 재정지출의 효율성 재정운영의 책임성으로 정리하고 각각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실시하였다 조작적 정의를 적용하여 운영성과를 분석하되 운영성과와 관련된 정량자료와 기존의 설문조사결과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결과는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위원 대상으로 매년 말에 도민참여예산제의 목적 달성 운영사항 등에 대한 질문지로 수행되어온 자료이다
도민참여예산제 운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몇몇 부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는 제도의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의 민주성 일부와 재정 지출의 효율성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면이 나타났다 특히 예산집행률이 낮게 나타난 부분은 집행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부족과 연관되어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를 선도적으로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사례를 조사하여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의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민참여예산제 운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몇몇 부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는 제도의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정의 민주성 일부와 재정 지출의 효율성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면이 나타났다 특히 예산집행률이 낮게 나타난 부분은 집행과정에 대한 주민참여의 부족과 연관되어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를 선도적으로 운영하는 광역자치단체 사례를 조사하여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의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3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4
제2장 주민참여예산에 관한 이론적 검토 6
1 주민참여예산의 의의 6
2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체계 8
3 선행연구 검토 17
제3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 현황 22
1 도입과정 및 주요 연혁 22
2 운영체계 25
제4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성과 분석 38
1 운영성과 분석 틀 38
2 운영성과 분석 41
3 운영성과 분석 종합 55
제5장 사례조사 57
1 사례조사 개요 57
2 서울특별시 시민참여예산제 59
3 대구광역시 주민참여예산제 88
4 경상남도 주민참여예산제 105
5 경기도 주민참여예산제 120
6 사례 종합 및 시사점 134
제6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개선방안 138
1 기본방향 138
2 주민참여 기구 139
3 주민참여 범위 143
4 주민참여방법 146
5 제도활성화 수단 150
제7장 결론 157
1 요약 및 결론 157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159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와 방법 3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4
제2장 주민참여예산에 관한 이론적 검토 6
1 주민참여예산의 의의 6
2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체계 8
3 선행연구 검토 17
제3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 현황 22
1 도입과정 및 주요 연혁 22
2 운영체계 25
제4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성과 분석 38
1 운영성과 분석 틀 38
2 운영성과 분석 41
3 운영성과 분석 종합 55
제5장 사례조사 57
1 사례조사 개요 57
2 서울특별시 시민참여예산제 59
3 대구광역시 주민참여예산제 88
4 경상남도 주민참여예산제 105
5 경기도 주민참여예산제 120
6 사례 종합 및 시사점 134
제6장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개선방안 138
1 기본방향 138
2 주민참여 기구 139
3 주민참여 범위 143
4 주민참여방법 146
5 제도활성화 수단 150
제7장 결론 157
1 요약 및 결론 157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 159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웅선
2017 지방공기업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7-101)(김영일, 이상진, 최웅선) 2017. 08. 30
충청남도 재정 성과관리 강화를 위한 주요재정사업 평가제도 개선방안 2018. 09. 01
예산의 성과계획서 지표개선 및 개발 2020. 08. 10
세종시 출범으로 인한 충남의 부정적 역효과 정량분석 2017. 04. 14
예산의 성과계획서 성과지표 개선 2021. 08. 09
-
임성수
천안시 기업유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21. 10. 13
부여군 재정진단 및 세출효율화를 위한 연구용역 2023. 09. 01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대기업 2개 사) 2022. 10. 20
국내 합동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2022. 12. 06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2022. 03.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