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형 지역계획 통합 모니터링 체계구축 고도화 연구
도정책과제

충남형 지역계획 통합 모니터링 체계구축 고도화 연구

기간
2022. 01. 17 ~ 2024. 02. 18
연구책임자
최정현
연구자
여형범,정민영
키워드
충남형 지역계획,모니터링 체계,공간데이터,지역 맞춤형 지표,데이터 거버넌스,디지털트윈,지방분권,정책통합
다운로드

최종보고서_충남형지역계획모니터링_v9(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형 지역계획 통합 모니터링 체계구축 고도화 연구는 충청남도의 지역계획을 데이터 기반으로 정비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2차년도 과제로 수행되었다 공간정보 기반의 과학적 정책 수립을 위해 지역계획 이력관리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연구는 충청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20122021년 동안 수립된 4200건의 지역계획 데이터를 수집정제통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계획 간 중복을 방지하고 정책 추진의 연계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중앙정부의 디지털트윈 지방분권 ESG 정책 기조와 연계되며 시군의 행정 실무자 수요조사 전문가 워크숍 설명회 등을 통해 실질적인 시스템 기능 개선이 이뤄졌다 특히 공간분석 기반의 인사이트 맵을 통해 지역 불균형 사회 현안 등 문제 지점을 시각화했다
모니터링 체계는 계획사업의 위치 재정 추진부서 등 속성정보를 정밀하게 관리하고 행정구역보다 세부적인 격자 단위로 지역 특성을 파악해 맞춤형 정책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정책 사각지대 해소와 계획 이행력 강화가 가능해졌다
데이터 구조는 국가공간정보와의 연계를 고려해 PKFK 관계를 설정하고 향후 타 부처지자체 시스템과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시군별 거버넌스 운영 지속적 갱신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도 포함되며 확장성과 지속가능성이 강화되었다
종합적으로는 충청남도 고유의 지역계획 분석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근거로 중앙정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적 지역계획 플랫폼 기반을 마련한 성과로 평가된다

목차

Ⅰ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
3 연구 목적 및 범위
4 연구 기대효과
5 연구 추진 경위
Ⅱ 정책동향 및 충청남도 일반현황
1 중앙정부 정책동향
2 충청남도 정책동향
3 충청남도 지역계획의 주요 특징 및 현황
4 충청남도 일반현황 검토
Ⅲ 1차년도 성과 및 2차년도 연구 방향
1 연차별 연구 추진목표
2 1차년도 연구 성과와 한계
3 2차년도 연구 추진 방향
Ⅳ 2차년도 주요 연구내용
1 데이터 수집 및 선정
2 충청남도 지역계획 사업 데이터베이스 고도화
3 충남형 지역계획 분석모형 개발
4 거버넌스 구축 및 시범운영
5 시스템 기능 고도화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2차년도 연구 추진결과
2 정책제언
부록
1 시군 수요조사 결과
2 전문가 워크숍 결과
3 충남형 지역계획 모니터링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