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갯벌조림사업은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과 해양오염 확대에 대응하고 수산자원 보호 및 해양환경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주요 내용으로는 연안 바다목장 조성 수중 해조류 식생지 복원 탄소 저장을 위한 해조류 이식 등이 포함되며 잘피 등은 1당 약 8만3천 톤의 탄소 저장 효과를 가진다
기존의 해양식생 조성 사업 사례로는 인공어초를 활용한 수산자원 복원과 맹그로브숲 복원이 소개되었다 맹그로브는 산소 생산과 생물 서식지 제공 해안 침식 방지에 기여하나 외래종의 생태계 교란 문제와 군락 확산에 따른 부작용도 지적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안정비 사업과 투수성 퇴적유도 목책 설치 등이 언급되었다
갯벌조림사업의 추진 전략은 참조생태계 조사 내륙 염습지 식생 복원 순차적 이식 등을 포함하며 염생식물을 경관 자원과 소득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된다 우수배제 해수유입 등 수위 조절 계획도 필요하다
단계별 계획은 1단계 적지선정 조사 2단계 염습지 조성조건 분석 3단계 갯벌조림지 조성 4단계 염생식물 군락지 확대 순으로 진행된다 각 단계에서는 식생 조건 분석 종묘 확보 퇴적 유도시설 설치 이식 등 구체적 절차가 마련되어 있다
사업의 기대 효과로는 갯벌의 탄소 흡수력 향상 생태관광 활성화 경관 개선 지역경제 기여 등이 제시되었으며 2022년에는 충남 서산 가로림만 등 5개소가 복원사업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대기업의 탄소중립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한 민간 협력 가능성도 제안되었다
목차
1 갯벌조림 사업
2 기존의 해양식생 조성사업
3 갯벌조림 사업 추진전략
4 민간기업의 사회공헌사업 참여연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우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 제43호제43호 2024. 12. 01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4. 04. 01
충남해역 침적해양쓰레기 분포현황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3-070) 2023. 11. 17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일본) 2023. 11. 19
2023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3. 01. 01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
-
윤영관
(충남정책지도 제18호)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후 10년 동안의 충청남도 해안환경 변화 2017. 12. 07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6. 10
충청남도 해양쓰레기 관리 정책 모델 개발 2016. 10. 17
2019년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 행사 운영 2019. 07. 08
2020년 하계 금강하구(서천해역) 재해성 해양부유쓰레기 발생특성 및 정책대응 방안 2020. 08. 26
깨끗한 충청남도 연안환경 관리 방안 연구 2015. 10. 01
-
윤종주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제5차 충남해양수산포럼(CNI 세미나 2017-137) (윤종주, 유재영, 김대영) 2017. 10. 31
서해안 해양환경현안 공동대응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관계기관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7-088)(윤종주, 김성수,이경미,최만식) 2017. 07. 07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2016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16. 0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