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연구
시군협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시스템 구축 연구

기간
2023. 10. 05 ~ 2024. 07. 31
연구책임자
최정현
연구자
임준홍,제수진,이지구,김선아,조승현,전수광
키워드
빅데이터,공공시설,입지분석,의사결정시스템,아산시,생활SOC,공간정보,데이터기반
다운로드

아산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 시스템 기본구상_240910.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아산시의 공공시설 입지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연구는 인구 구조 변화 지방분권 확대 공공데이터 활용 증가 등 행정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특히 북부 신도시와 산업단지 중심으로 공공편의시설 수요가 집중되는 아산시의 여건에 맞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결정 체계 수립이 목적이다
시스템은 공공데이터와 민간 빅데이터를 연계해 공급수요 간 격차를 분석하고 서비스 권역 내 인구 및 수요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최적의 입지를 도출한다 공공시설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실시간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시각화 도구도 포함된다
연구는 아산시 전체 행정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며 생활밀착형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유형을 정리하고 접근성 분석 공간가중치 적용 시뮬레이션 기능 등을 결합한 입지분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GIS 기반 DSS 시스템은 웹에서 간편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공공정책 환경영향 주민요구 등을 고려한 정책지도 기능도 포함되며 실무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사용자 매뉴얼도 제작되었다 향후 계획인구 반영 운영 효율성 확보 장기적 비용 절감 시설 재배치까지 고려된 종합적 정책 지원체계로 확장 가능하다
중앙 및 충남도의 상위 계획들과 정합성을 확보했으며 디지털플랫폼정부 디지털트윈 KOREA 자치분권 20 등의 정책 방향과도 일치한다 충남형 지역계획 통합 모니터링 체계와도 연계되어 실효성 있는 공공시설 관리가 가능해진다
차별점으로는 단순 위치 기반이 아닌 실제 운영현황 관리주체 조성계획까지 반영된 고정밀 데이터를 사용한다는 점 그리고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과 정책 신뢰도를 높이는 구조로 설계되었다는 점이 강조된다

목차

Ⅰ 과업 개요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기대효과
4 연구 차별성
5 연구 추진 경위
Ⅱ 관련 계획 및 아산시 현황 분석
1 상위 계획 및 관련 계획
2 중앙부처 유사 플랫폼
3 아산시 분야별 현황
Ⅲ 공공편의시설 입지분석 기본방향
1 공공편의시설 정의 및 유형
2 공공편의시설 접근성 분석
3 공공편의시설 입지분석 방법론
4 실무 활용을 위한 공공편의시설 입지분석 방법론 선정
Ⅳ 공공편의시설 입지분석 시스템 구축
1 아산시 공공편의시설 DB 구축
2 입지분석 시스템 구축
3 공공시설별 정책지도
Ⅴ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향후 연구 추진 방향 및 시사점
Ⅵ 부록 공공시설 입지관리 의사결정 시스템 활용 가이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