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기간
- 2023. 03. 13 ~ 2023. 08. 31
- 연구책임자
- 강마야
- 연구자
- 정봉희,장창석,이민정,제수진,임형빈,최윤정
- 키워드
- 인권영향평가,인권경영체계,조직 내 소통,공급망 인권보호,지역사회 인권,실태조사,제도개선,충남연구원
- 다운로드
-
★231201_(현안과제)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_최종보고서_강마야 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40117_(현안과제)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_최종보고서PPT(수정)_ppt(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기본평가에서는 인권존중 정책선언 인권영향평가 정기적 실시 구제절차 마련 등은 이행률이 8590로 높게 평가되었지만 협력기관의 인권보호 모니터링과 지역사회 인권침해 대응은 대부분 이행되지 않아 개선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체크리스트 항목을 재정비하고 외부 이해관계자까지 고려한 인권경영 강화가 제안되었다
특별평가에서는 구성원 간 소통 부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 직원 참여형 회의 과제 투명공개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내부 구성원이 주도하여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참여형 평가 방식은 다른 기관과 차별화된 충남연구원의 특징으로 평가된다
이 외에도 인권친화적 일터 조성을 위한 교육 가이드라인 도출 고충상담 창구 운영 등의 활동이 병행되었으며 통합예방 매뉴얼을 제작하고 온라인오프라인을 통한 신고체계도 구축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인권침해 예방 및 대응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평가의 의미는 인권경영을 단순한 규정 준수 차원을 넘어서 실질적 실천으로 확산시키려는 시도에 있으며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점에서 인권친화적 조직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향후에는 외부 자문을 통한 점검과 협력기관 대상 인권관리도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2 추진개요
3 기본평가 인권영향평가 분석결과
4 특별평가 조직 내 소통과 인권 실태 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부록1 2022년 기준 충남연구원 인권 경영 체크리스트
부록2 2022년 기준 충남연구원 인권 영향평가를 위한 [조직 내 소통과 인권] 실태조사 설문지
부록3 직장 내 소통에 대한 선행자료 요약
부록4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를 위한 연구진 회의록1차7차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형빈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53호 2010. 12.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아산시·충남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년 전국체전 유치, 그리고 아산의 재도약' (장인식,임형빈,임준홍,백운성) 2011. 12. 20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
장창석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워크숍(오수길,장창석) 2016. 12. 05
찾아가는 지속가능발전 및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오수길) 2016. 10. 20
충남 사업장폐기물 매립장 입지 갈등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장창석, 홍수열, 장용철) 2015. 09. 23
2015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 2015. 10. 12
충청남도 지방공기업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CNI세미나2017-106)(장창석,최진하) 2017. 08. 30
도시군 공공갈등 협력 강화를 위한 충청남도 갈등관리 관계관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18) (고승한, 이영웅, 전상욱) 2017. 03. 22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최윤정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3년 충남연구원 인권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23. 10. 10
보육정책 진단 및 공보육 강화 방안 2013. 11. 13
노후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쇄와 친환경에너지(발전소) 전환 타당성 연구 2019. 01. 15
충남도 사회통합 실태 분석 및 정책 과제: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자,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2020. 02. 13
-
이민정
충남도 환경위해시설 과세실현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16) (정종필,이민정) 2017. 03. 17
미세먼지 관련 지자체 역할확대방안 모색 워크숍(홍수열, 이민정) 2016. 08. 08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2024 당진시 자동차산업 국제세미나 2024. 03. 25
- 정봉희
-
제수진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도시정책연구회 제1차 세미나(CNI세미나2017-043) (이상호) 2017. 05. 25
(해외출장보고서)충청남도 주거종합계획(2023-2032) 결과보고 2022. 12. 12
빈집 관련 제도 개선 방안 기초연구 2023. 07. 03
충남도정 주요지표의 재구조화 및 활용방안 2017.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