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충청남도 청년들의 삶의 특징을 분석하고 정책 연계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충남 청년들은 부모 동거 비율이 낮고 자립 시기를 취업 이후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며 주거지 선택 시 통근통학 편의와 주거비가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지속 거주의향은 전국 평균보다 낮고 문화여가 부족과 주거환경 개선 필요성이 지적된다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고졸 청년들이 특정직종 관련 훈련을 선호하며 대졸자도 취업 목적의 사교육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의 취업 지원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편이다 노동 분야에서는 충남 청년들의 비정규 근무 비율과 과도한 노동시간이 높고 적정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여성은 육아로 인한 퇴직률이 높아 일자리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번아웃 경험이 많고 스트레스 등 건강 문제도 심각하게 나타난다
1인 가구 청년은 주거비 부담과 정주 의향이 낮으며 정신건강 지표가 열악하다 문화와 스포츠 활동 참여율도 낮고 시간 부족과 경제적 제약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사회 인식 부문에서는 소득 격차와 세대 갈등 성별 갈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사회에 대한 신뢰는 낮은 편이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일자리와 관계 자산을 꼽는다
이에 따라 충남형 청년정책은 세 가지 방향으로 제안된다 첫째 인프라형 사업으로 도농복합형 기숙사 모델 청년 생활빌리지 조성 둘째 연계협력형 사업으로 통합교육 프로그램 청년 생활학교 운영 셋째 제도형 사업으로 청년친화기업 인증제 아빠휴직 지원금 충남 토박이 우대제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정책은 청년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정착을 유도하며 충남 청년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고졸 청년들이 특정직종 관련 훈련을 선호하며 대졸자도 취업 목적의 사교육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의 취업 지원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편이다 노동 분야에서는 충남 청년들의 비정규 근무 비율과 과도한 노동시간이 높고 적정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여성은 육아로 인한 퇴직률이 높아 일자리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번아웃 경험이 많고 스트레스 등 건강 문제도 심각하게 나타난다
1인 가구 청년은 주거비 부담과 정주 의향이 낮으며 정신건강 지표가 열악하다 문화와 스포츠 활동 참여율도 낮고 시간 부족과 경제적 제약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사회 인식 부문에서는 소득 격차와 세대 갈등 성별 갈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사회에 대한 신뢰는 낮은 편이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일자리와 관계 자산을 꼽는다
이에 따라 충남형 청년정책은 세 가지 방향으로 제안된다 첫째 인프라형 사업으로 도농복합형 기숙사 모델 청년 생활빌리지 조성 둘째 연계협력형 사업으로 통합교육 프로그램 청년 생활학교 운영 셋째 제도형 사업으로 청년친화기업 인증제 아빠휴직 지원금 충남 토박이 우대제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정책은 청년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정착을 유도하며 충남 청년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조사개요
제2장 주요결과
제3장 결과검토
제4장 정책제안
제2장 주요결과
제3장 결과검토
제4장 정책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춘섭
충남 사회기술혁신포럼 (김종선,박춘섭) 2016. 02. 04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쉬자량,루용빈,유충식,송두범,박춘섭) 2016. 04. 20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2016 사회적경제 아카데미 평가 컨퍼런스 2016. 12. 27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