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청년센터의 운영방향과 추진사업 제안
현안

충청남도 청년센터의 운영방향과 추진사업 제안

기간
2023. 06. 02 ~ 2023. 07. 10
연구책임자
전지훈
연구자
이홍택
키워드
청년정책,광역청년센터,충청남도,청년기본법,정책지원,청년활동공간,청년복지,정책과제
다운로드

충남청년센터 현안과제 보고서 최종 제출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광역 청년센터 설립과 운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전국 광역 및 도내 시군 청년센터 사례를 분석하고 청년정책 확대에 따른 실행 과제를 도출하였다 기존 청년정책은 일자리 중심에서 주거 복지 교육 문화 등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청년센터는 정책 전달체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국 광역 청년센터는 대부분 공공위탁 방식으로 운영되며 예산과 인력 공간 구성은 지자체 여건에 따라 다양하다 서울청년허브 대전청년내일센터 등은 정책기획 청년참여 확대 커뮤니티 지원 공간 제공 등 포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실험실 창업 공간 심리상담실 등 청년 맞춤형 시설을 갖추고 있다
충남 시군의 청년센터는 대부분 직영 형태이며 이용률과 예산 프로그램 운영 수준에서 지역 간 편차가 크다 아산시와 공주시의 경우 복수 공간 운영 및 월 2천 명 이상 이용자가 있는 반면 일부 지역은 센터 미설치 상태이거나 운영이 미비한 수준이다 또한 센터 운영 부서와 담당자도 일관되지 않아 정책 연계성과 효율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충남 광역 청년센터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 청년정책 연계 교육역량 강화 조사연구 및 정책개발 활동 기반 조성 등 네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특히 도내 청년센터와의 기능적 차별화를 통해 정책 전달과 상향식 의견 수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추진사업으로는 청년정책 연구 청년리빙랩 공동교육 프로그램 광역시군 연계 네트워크 구성 청년정책 통합플랫폼 운영 등이 제안되었다 이들 사업은 단기중기장기 과제로 유형화되어 실행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였다 또한 공간은 접근성과 기능성을 고려해 코워킹 상담 교육 문화 등 복합적 공간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청년센터는 단순한 청년공간 제공을 넘어 광역 청년정책 허브로 기능해야 하며 지역 청년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반영한 거버넌스 구축과 공공성 강화가 핵심 운영전략으로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청년정책의 개념과 제도 검토
제3장 전국 광역 청년센터 현황 조사
제4장 도내 시군 청년센터 현황 조사
제5장 충남 광역 청년센터 기능과 운영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