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신남방교류 연구회
연구회

신남방교류 연구회

기간
2023. 02. 13 ~ 2023. 10. 31
연구책임자
홍원표
연구자
권오성,김양중,김영수,김진기,윤향희,이민정,전춘복,강마야
키워드
신남방,교류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주요 성과 활용 방향
할랄 푸드는 식품산업 화장품 그리고 관광 인프라 두 측면이 있음
할랄 푸드는 무슬림이 먹는 음식으로서 세계적으로 수요 증가가 예상됨
할랄 푸드는 무슬림 계율에 의해 정한 것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필수 인프라로 인식됨
식품산업 충남의 입장에서 할랄 푸드는 수출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이 현실적
내수는 주로 육류와 향신료 등 품목 위주인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현재 기준으로 시장규모가 크지 않다는 의견이 있음
수출은 수요를 전제로 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서 할랄인증을 받고 있음
할랄인증은 다양하며 소비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약간 상이하므로 미리 인증을 받기보다는 수요가 있을 때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관련 소요 비용과 시간도 그리 길지 않은 상황임
수입선에서 할랄인증기관을 지정하거나 과정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음
화장품산업 식품산업과 마찬가지로 수출산업으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
수요를 확인하고 할랄인증을 받는 것이 현실적인 대응방향임
한국콜마세종공장의 경우 바이어의 요청에 의해 대응한 사례임
홍성 소재 모 화장품업체의 경우 할랄인증을 받았으나 현재는 할랄인증제품 생산을 포기했는데 수요의 불안정 등이 이유로 알려져 있음
화장품의 경우 상류upstream인 성분 원재료 소재 등에서 할랄인증을 받는 것이 전체적으로 비용 절감 및 생태계 조성에 효과가 큰 것으로 파악됨
기초소재 할랄인증은 그것을 사용하는 업체에 증서를 제출하면 재인증 불필요
관광 인프라 할랄 푸드는 개인 선호가 집단 계율의 문제이므로 인프라 성격이 강함
대다수 무슬림에게 할랄 푸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의 영역이며 관광객으로서도 마찬가지임
할랄 푸드의 이용 가능성은 집단관광객은 물론 개인 관광객을 유치하는데 필수적
현재 외국인 관광객 중 무슬림의 비중은 크지 않으나 성장 가능성이 큼
무슬림 유학생 생활 조사의 시사점 할랄 푸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무슬림의 식생활 특성에 맞는 관광객 인프라 조성이 긴요
무슬림 외국인이 현지에서 겪는 애로사항 중 가장 큰 것이 음식과 기도장소임
충남의 경우 풍부한 해산물과 무슬림의 환영을 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됨
산채음식은 채식음식이기 때문에 할랄인증을 받기 쉬우나 육류를 좋아하는 무슬림의 기호에는 맞지 않을 가능성 있음무슬림 유학생 간담회 중
해산물의 경우 수니파와 시아파 등 종파에 따라 할랄 범주가 달라지므로 주꾸미 문어 장어 등은 지역 또는 종파에 따라 수용성이 다름
충남의 할랄인증 추진 방향 웰빙음식의 일환으로 메뉴 단위로 탄력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
할랄 푸드를 단독으로 인증하는 것보다는 비건 등 다양한 웰빙의 한 종류로서 할랄을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
식당 단위가 아니라 메뉴 단위로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
기관인증만이 아니라 자체 인증 등 자유로운 방식으로 추진
할랄 푸드를 기관인증을 거칠 경우 비용 부담이 있으며 이미 여러 곳에서 기관인증보다 자체 인증이나 표시 등을 하고 있음

목차

2023년 주요 활동 실적
주요 성과 활용 방향
차년도 개선사항
활동 세부내용사진첨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