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CNI세미나2023-020_농어촌과 청년 연구회 현장세미나(공주시 청년정책 및 창업사례)
연구정책조성/세미나

CNI세미나2023-020_농어촌과 청년 연구회 현장세미나(공주시 청년정책 및 창업사례)

기간
2023. 04. 04 ~ 2023. 04. 04
연구자
신동호,강마야,강수현,조소진,이도경,김보람,송민정,이샘
키워드
청년,공주시,청년센터,정책,동그라미,공간운영,지역소멸,참여현황
다운로드

발제1_공주시청년정책사례_공주청년센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제2_지역우수청년창업사례_공주시_퍼즐랩(주)_마을에서 괜찮은 퍼즐 조각이 되는 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제1_공주시청년정책사례_공주청년센터(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제2_지역우수청년창업사례_공주시_퍼즐랩(주)_마을에서 괜찮은 퍼즐 조각이 되는 법(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청년센터는 청년의 삶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강북과 강남으로 나뉘어 공유공간과 자율이용 공간을 제공하며 무선인터넷 정수기 냉장고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네이버 예약 시스템을 통해 공간 대관이 가능하며 청년들의 자율적 이용을 장려하고 있다
센터의 운영 비전은 ON을 키워드로 하여 청년이 계속 머물고 연결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슬로건은 청년의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으로 설정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청년들을 상징하는 캐릭터 동그와 라미를 통해 포용성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이는 외면과 내면의 자아를 함께 인식하고 존중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청년센터는 다양한 체험과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의 교류와 자아 성장을 지원한다 오리엔티어링 전시 팝업스토어 농업동아리 목공수업 청년공동체 성과공유회 크리스마스 파티 등 여러 활동이 연중 진행되며 다양한 청년층이 참여하고 있다 참여자의 85가 2030대로 실제 청년 이용률도 높다
센터는 청년정책의 전달체계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청년기본법과 공주시청년조례에 따라 정책 안내 지원사업 수행 청년단체와의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청년시설의 지정과 운영 위탁 기준도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과 서비스의 구분이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지역소멸 위기 속에서 청년정책이 인구유입과 유출방지라는 인구정책 관점으로 활용되고 있는 현실도 지적된다 청년정책이 독자적인 목적보다는 다른 정책을 위한 수단으로 오용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청년정책의 자율성과 본질적 가치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된다
결과적으로 공주시청년센터는 물리적 공간 제공을 넘어 청년의 다양한 삶을 지지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책 전달 체계와 역할 정립 지역 인구정책과의 관계 설정 등 해결 과제도 분명하며 청년 주체의 관점에서 지속적 개선과 정책 명확화가 요구된다

목차

1 공주는 어떤 곳인가 청년현황
2 공주시 청년정책 현황
3 공주시 청년들의 목소리
4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
5 공주시청년센터 운영 비전
6 공주시청년센터의 정체성
7 공주시청년센터 운영 공간
8 공주시청년센터 주요 프로그램 사례
9 2022년 공주시청년센터 참여 현황
10 청년센터의 위치성과 사업의 한계
청년정책 전달체계로서의 역할
지역소멸과 맞닿아 있는 청년정책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