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중부권 미세먼지관리를 위한 연구교류 세미나 (CNI-028)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중부권 미세먼지관리를 위한 연구교류 세미나 (CNI-028)

기간
2023. 05. 11 ~ 2023. 05. 11
연구자
이상신,김종범,최영남,송한결,황규철
키워드
미세먼지,중부권,PM2.5,대기환경,기후변화,황사,관측망,예측모형
다운로드

중부권 미세먼지 세미나_통합.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중부권 미세먼지 세미나_통합(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중부권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의 발생 특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기후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교류 세미나의 내용을 담고 있다 세미나는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에서 개최되었으며 충청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유관기관 간 협력 및 데이터 기반 연구 강화를 목표로 하였다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2월 기간 동안 중부권 지역 42개 관측소의 PM25 자료와 ERA5 기상 데이터를 활용해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고농도 사례는 극심 고농도EH 고농도H 저농도L 극저농도EL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사례별 대기순환 패턴 분석을 통해 특징을 도출하였다
EH 사례는 연평균 약 58일 발생하며 Kmeans 군집 분석 결과 북대서양북유럽 고기압성 편차 또는 북극 해빙 감소와 연계된 대기순환 패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고농도 시기에는 바람속도 감소 혼합층 높이 하강 기온 역전 증가 등의 조건이 동반되어 대기정체 현상을 유발하였다
동일 기간 중 중부권 평균 PM25 농도는 1631로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충남 천안 등 일부 지역에서 가장 높은 농도가 관측되었다 고농도 사례에 대한 EOF 분석 결과 대규모 공간적 변동성과 동서 변동 양상이 주요 모드로 나타났으며 시공간적 이질성도 확인되었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 황사의 겨울철 발생 특성과 수송 경로에 대한 WRFChem 모형 기반 시뮬레이션도 병행되었으며 다양한 먼지 배출 방안UC01 UC04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부 방안은 실제 관측값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으나 대부분은 동결 토양 조건 반영 부족 지면 자료 한계 등으로 성능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는 중부권 PM25 고농도 발생 원인을 기상장과의 상관 속에서 규명하고 향후 지자체 맞춤형 저감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추가적으로 측정소 확충 고해상도 시뮬레이션 개선 모형의 현실적 토양기상 반영 필요성도 제안되었다

목차

1 중부권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연구 교류 세미나
2 대기환경연구소 자료를 활용한 지역별 PM25의 물리화학적 특징
3 중부권고농도PM25 기상기후 영향분석
4 WRFChem 모형을 이용한 동아시아 기상대기질 예측체계개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