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이번 협의회에서는 각 교육센터의 2023년 교육 추진 실적 보고와 함께 2024년 연간 계획을 발표하고 실무협의회 위원들의 자문의견을 수렴하였다 각 센터는 청소년 및 어업인 대상 프로그램 전문인력 양성 교육 해양쓰레기기후변화 대응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일부 센터는 행동 변화 유도형 프로그램과 체험 중심 교육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자문의견으로는 어업인 대상 교육 시 어업경영체 등록자를 우선 대상으로 하고 친환경 어구 홍보와 현장 연계 강의자료 제작 해양안내자 연계활동 강화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서산센터의 해양안내자 과정과 서천센터의 조류 생태 교육은 향후 확대 운영과 관련된 협업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한서대학교 및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는 교과 연계 교육 확대 성과 기반 보상제도 도입 보수 교육 및 교구 개선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실효성 있는 콘텐츠 제작과 예산 확보의 중요성도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교육 자료는 전문가 감수를 거쳐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쓰레기 블루카본 등 이슈 기반 교육의 확산 가능성을 언급하며 생물자료 중심의 교재 개발과 외부 전문가 활용 예산의 확보를 강조하였다 센터 간 협력과 지역 기관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향후 계획으로는 자문 내용이 반영된 센터별 2024년 사업계획서 제출 신규 교육 프로그램과 교보재 개발 교육청 및 지역기관과의 협력 확대가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충남의 해양환경교육이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Ⅱ 주요 내용 자문의견
Ⅲ 향후 계획
Ⅳ 협의회 사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우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 제43호제43호 2024. 12. 01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4. 04. 01
충남해역 침적해양쓰레기 분포현황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3-070) 2023. 11. 17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일본) 2023. 11. 19
2023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3. 01. 01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
-
송혜영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2023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3. 01. 01
충남해역 침적해양쓰레기 분포현황 조사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 2023-070) 2023. 11. 17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4. 04. 01
충청남도 해양폐기물 자원순환 체계구축 및 활성화 방안 연구(폐어구 중심) 2024. 07. 23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
윤종주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해양생태환경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해양환경분야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046) (윤종주, 김태곤, 서우락, 김종범, 김성길) 2017. 03. 16
제5차 충남해양수산포럼(CNI 세미나 2017-137) (윤종주, 유재영, 김대영) 2017. 10. 31
서해안 해양환경현안 공동대응을 위한 해양환경측정망 관계기관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17-088)(윤종주, 김성수,이경미,최만식) 2017. 07. 07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2주년 워크숍(CNI세미나2017-056) (윤종주,정우혁) 2017. 03. 29
2016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2016. 05. 19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
연구정책조성/워크숍도-시·군 공공갈등 협력 강화를 위한 충청남도 공공갈등관리 관계관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8-023, 김응규, 장창석, 이영웅, 고승희)2018. 03. 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