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정책지원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기간
2024. 04. 01 ~ 2024.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윤종주,김종범,최영남,박세찬,정이령,송혜영,이상기,황규철,이은희,고성훈,이상우,김아람
키워드
기후변화,충청남도,교육지원,탄소중립,재생에너지,환경교육,공무원교육,진로체험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2024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도민의 기후변화 인식 제고와 실천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본 교육사업은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가 수행하며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의 역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부터 공무원 일반 시민까지 폭넓은 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내포 친환경 클러스터 체험교육 꿈길 진로체험 마을연계 공동교육과정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하였다
2024년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를 활용해 구성되었으며 대상에 따라 진로체험형 교육재생에너지 전문가 기후대기 연구원 체험 등 환경교육연령별 기후 위기 이해 기후변화과학공무원 일반인 대상 강의 등으로 구분된다 이는 참여자의 눈높이에 맞춰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천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실제 운영 현황을 보면 2024년 기준 초등학생 학부모 공무원 일반인을 포함하여 총 767명을 대상으로 40여 회 이상의 교육이 진행되었다 대흥초 신례원초 효행초 등 초등학교와 예산교육지원청 등에서 진로체험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공무원을 위한 해양환경관리 탄소중립 실천전략 환경정책 동향 교육도 병행되었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 대상 직업교육훈련환경안전 점검원 양성 민간환경감시원 교육 청소년 마을연계 공동교육과정 등은 기후변화 대응 교육을 지역사회 참여형으로 확장시킨 대표 사례다 이를 통해 기후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인적 기반을 넓히고 있으며 지역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 교육의 모델로 주목된다
프로그램 운영은 공주대학교 운영의 충남탄소중립지원센터와 협업하며 연구소는 기존 교육 중심 역할에서 보조적 지원 기관으로 전환되어 효율적인 역할 분담을 수행하고 있다 강사진도 다양화되어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소속 전문가와 외부 강사를 포함해 전문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본 교육지원 사업은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갖춘 시민 양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교육 계층별 특화 콘텐츠 개발 행정 및 민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확산 가능한 교육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에도 충청남도는 도민 전반의 기후감수성과 실천역량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다

목차

1 교육사업 운영 배경 및 목적
2 교육프로그램
3 2024년 기후변화 교육 운영결과
4 강사지원
5 강사지원 현장사진
6 연구책임 및 참여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