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2024년  열린충남 봄호
출판/열린충남

2024년 열린충남 봄호

기간
2024. 03. 20 ~ 2024. 06. 20
연구자
정봉희,김선영,이홍택,홍원표,박춘섭,최정현
키워드
탄소중립,충청남도,청년농,스마트농업,베이밸리,인구소멸,지역발전,정주환경
다운로드

열린충남 봄호 104호(최종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선포하고 고탄소 산업구조 전환 에너지 체계 개편 도민 참여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쇄와 청정에너지 전환 수소암모니아 혼소 등 기술 개발 재생에너지 확대를 포함한 전환경제 전략을 제시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산업체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재정 지원과 법제도 마련이 강조되며 중소기업의 전환 지원과 탄소순환형 산업단지 조성도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충청남도와 경기도는 공동으로 베이밸리 구상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산만권을 중심으로 산업 정주 인재 인프라를 통합한 메가시티로 육성하려 한다 해당 구상은 10대 프로젝트와 20대 핵심사업으로 구성되며 수소반도체바이오 등 미래 산업 육성 글로벌 투자인재 유치 초국경 교통망 조성 정주환경 개선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충남은 국가 신성장동력 창출과 동아시아 교류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충남 농업농촌 부문은 고령화와 청년농 부족 농가 소득 저조 등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남도는 청년농 육성 스마트팜 확산 농촌소멸 대응 등을 핵심 과제로 설정하였다 특히 청년농을 위한 경영 실습과 스마트 농업단지 조성 ICT 융복합 축산단지 등 기반 조성을 확대하고 있으며 정주환경 개선과 관계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농업은 청년농 육성과 연계하여 논산 부여 서천 당진 등에 복합단지 및 지원센터를 조성하고 있으며 교육생산유통이 통합된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농업은 생산 중심에서 벗어나 육종유통 등 전주기적 데이터 연계와 기술 고도화로 확대되고 있으며 농촌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공간 재구조화 및 유휴시설 활용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충청남도의 정책과제는 지역 특성에 기반한 현실적 접근과 제도 정비 그리고 민관 협력을 통한 추진체계 마련이 핵심이며 청년과 농촌의 미래를 위한 장기적 비전과 실천 로드맵 구축이 중요하다 이러한 다층적 정책 시도는 충남을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경제환경농업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목차

권두언
충남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민이 행복한 도정을 바라며
특집
국가 탄소중립의 실현 충청남도 탄소중립경제 특별도의 성공에 달려 있다
베이밸리 구상의 맥락과 구성을 되짚어본다
충남 농업농촌의 진단과 핵심과제
현안연구
청년 삶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충남청년들의 삶의 모습과 정책연계
빈집 제도개선 및 충남형 빈집정비사업 추진방안
열린마당
충청남도 학생인권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언론이 바라본 충남
내 고향의 인구소멸을 생각한다
로컬이 답이다
공주 제민천의 중심에 주퍼즐랩이 있다
연구원 소식
충남연구원 힘쎈 충남 위한 정책연구 강화
충남연구원선문대한서대 충남 스마트 클린 프로젝트 추진 업무협약 체결
중부권 대기질 개선 방안 머리 맞대
충남연구원 과학기술진흥본부 내포 이전 개소식 가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