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청남도의 경우에도 인구 고령화와 청년 유출로 인해 지역 유지에 큰 위기를 맞고 있다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주요 원인이다
지역소멸 위험도는 시군별로 편차가 있으며 농촌 지역일수록 높은 위험도를 보인다 이에 대한 정밀 진단이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지역소멸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일본의 사례는 인구감소에 대응한 정책 수립의 참고가 된다
충청남도는 청년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주거일자리교육 등 다각적 접근이 요구된다
지역소멸 방지를 위해서는 중장기적 계획 수립과 지역 맞춤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공동체 기반의 회복도 중요하다
목차
제2장 지역소멸과 인구감소의 현황
제3장 충청남도 인구구조 변화
제4장 충청남도 청년인구 분석
제5장 충청남도 지역소멸 위험 진단
제6장 국내외 지역소멸 대응 사례
제7장 충청남도 지역소멸 대응 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전지훈
사회적경제 융복합연속포럼1: 사회적경제로 지역문화를 가꾸다.(CNI세미나2017-130) (전지훈,신현길,노재정) 2017. 10. 23
마을 공동자산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모색 (배성기, 전대욱) 2016. 12. 05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사회적경제활동으로 지역문화를 가꾸다 2017. 10. 23
-
김선영
2024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4. 12. 04
2024년 열린충남 가을호 2024. 10. 17
2024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4. 07. 05
2024년 열린충남 봄호 2024. 03. 20
(CNI세미나 2024-45) 제3차 지역정책세미나 2024. 09. 27
-
윤향희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외국인가정 자녀의 한국어교육 현황검토 2022. 07. 27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실효성있는 유아 교육방안 제안 2023. 03. 02
천안시 성정2동 다문화가정의 복지서비스 실태 2022. 11. 01
외국인 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양극화 해소 방안 마련 2022. 03. 01
- 정봉희
-
김진희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지구 시행계획 개선 및 관리체계 개발 연구 용역 2017. 04. 25
농촌개발 ODA의 방향과 과제(허장,민경일,김남수,정진영,여형범,권율,양영미) 2014. 11. 06
우리나라 공무원 인사제도의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2014. 10. 06
충남의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고방안 2022. 09.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