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에 대응하여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충남 지역 외국인 유학생 수는 약 8500명 이상이며 이들의 안정적인 체류와 취업 연계를 위해 충남형 일학습 병행제가 추진되고 있다 이 제도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시간제 취업 현장실습 졸업 후 취업까지 연계하는 구조로 유학생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 정착을 목표로 한다
신성대학교는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불법체류율 0를 유지하며 어학과 학위과정을 연계한 맞춤형 교육과 산업기술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 생활상담 시간제 취업 정보 제공 등 적응 지원이 병행되며 지역 중소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과 인턴십을 통해 유학생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D10 E7 F2 비자 등 다양한 체류 자격 전환도 지원하고 있다
건양대학교는 논산시와 협력해 유학생의 취업을 위한 민관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교내에 유학생 취업 정보 게시판을 설치하고 지역 상인회와 협력한 아르바이트 연계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노동 환경 문제를 조명한 언론 보도를 계기로 유학생 취업의 질적 향상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유학생을 포용하는 문화 형성도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선문대학교는 약 60개국 19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이며 베트남 일본 미얀마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 학과별로 유학생 비율이 높은 전공에는 한국어교육 경영 관광 컴퓨터공학 등이 있으며 국내 상위권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TOPIK 자격 취득과 전공별 맞춤 지원을 통해 유학생의 학업 성취와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한서대학교는 유학생의 졸업 후 지역 정착을 위해 취업 상담과 박람회 참가 등을 운영하며 F2R 비자 추천서를 발급해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고 있다 교내 관련 규정을 바탕으로 출입국 등록금 장학금 취업지원 체계를 정비하고 있으며 관리부서 간 역할 분담을 통해 체계적인 유학생 관리를 진행 중이다
호서대학교는 정규과정 유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인턴십 일학습병행제 지역 기업과의 MOU 체결을 통해 실질적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TOPIK 자격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에 연계하고 인턴십 수당과 현장실습비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연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취업비자 교육 강화 지역사회 협력 확대 문화적 다양성 수용이 제시되었다
신성대학교는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불법체류율 0를 유지하며 어학과 학위과정을 연계한 맞춤형 교육과 산업기술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 생활상담 시간제 취업 정보 제공 등 적응 지원이 병행되며 지역 중소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과 인턴십을 통해 유학생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D10 E7 F2 비자 등 다양한 체류 자격 전환도 지원하고 있다
건양대학교는 논산시와 협력해 유학생의 취업을 위한 민관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교내에 유학생 취업 정보 게시판을 설치하고 지역 상인회와 협력한 아르바이트 연계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노동 환경 문제를 조명한 언론 보도를 계기로 유학생 취업의 질적 향상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유학생을 포용하는 문화 형성도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선문대학교는 약 60개국 1900여 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이며 베트남 일본 미얀마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 학과별로 유학생 비율이 높은 전공에는 한국어교육 경영 관광 컴퓨터공학 등이 있으며 국내 상위권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TOPIK 자격 취득과 전공별 맞춤 지원을 통해 유학생의 학업 성취와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한서대학교는 유학생의 졸업 후 지역 정착을 위해 취업 상담과 박람회 참가 등을 운영하며 F2R 비자 추천서를 발급해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고 있다 교내 관련 규정을 바탕으로 출입국 등록금 장학금 취업지원 체계를 정비하고 있으며 관리부서 간 역할 분담을 통해 체계적인 유학생 관리를 진행 중이다
호서대학교는 정규과정 유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인턴십 일학습병행제 지역 기업과의 MOU 체결을 통해 실질적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TOPIK 자격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에 연계하고 인턴십 수당과 현장실습비를 제공함으로써 취업 연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취업비자 교육 강화 지역사회 협력 확대 문화적 다양성 수용이 제시되었다
목차
Ⅰ 배우면서 바로 일하는 충남형 일학습병행제
Ⅱ 신성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운영현황
Ⅲ 충청남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노력과 방안
Ⅳ 선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
Ⅴ 충남 외국인 유학생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노력
Ⅵ 외국인 유학생 지역사회 정착 프로그램 및 발전방안
Ⅱ 신성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운영현황
Ⅲ 충청남도 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노력과 방안
Ⅳ 선문대학교 외국인 유학생 현황
Ⅴ 충남 외국인 유학생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노력
Ⅵ 외국인 유학생 지역사회 정착 프로그램 및 발전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다정
태안군 복지수준 평가 연구 용역 2017. 07. 04
충남형 주민자치 지원사업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22. 03. 01
해양치유자원의 활용 방안 연구 2022. 08. 22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 CSR 연계 방안 2020. 02. 24
기본소득연구회 2022. 03. 08
충청남도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추진전략 연구 2023. 01. 02
-
윤향희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외국인가정 자녀의 한국어교육 현황검토 2022. 07. 27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실효성있는 유아 교육방안 제안 2023. 03. 02
천안시 성정2동 다문화가정의 복지서비스 실태 2022. 11. 01
외국인 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 양극화 해소 방안 마련 2022. 03.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