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CNI세미나 2024-82)제2차 사회 갈등-협력 연구회 워크숍
연구정책조성/워크숍

(CNI세미나 2024-82)제2차 사회 갈등-협력 연구회 워크숍

기간
2024. 11. 08 ~ 2024. 11. 08
연구자
고승희,이홍택,장창석,임다정,오혜진,김강현,유영민
키워드
재난,갈등관리,이해당사자,위험소통,구조갈등,협상,중재,정보공개
다운로드

제2차 사회갈등협력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차 사회갈등협력 자료집(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재난 시에는 정보의 부족이나 해석 차이로 인한 정보갈등 감정과 오해에서 비롯된 관계갈등 자원 불균형에서 생기는 구조갈등 가치관 차이에 따른 가치갈등 이익의 충돌에서 생기는 이익갈등 등이 발생한다 실제 사례로는 대피소 운영 피해 신고 판정 기준 등에서 정부와 주민 간 갈등 임대차 문제로 인한 주민 간 갈등 사고 수습과 보상 문제에서의 지자체와 유가족 간 갈등 등이 제시된다
이러한 갈등은 재난 전 단계에서의 제도 미비나 정보 공유 부족 재난 발생 이후 책임 분담 보상 기준 주민 신뢰 부족 등으로 확대된다 정부 간에는 권한과 책임의 경계 불명확으로 구조적 갈등이 나타나며 민관 간에는 지원 제도 미비와 정보 부족으로 이익 및 구조 갈등이 발생한다 언론과의 갈등은 과장 보도 및 정부 소통 부족으로 나타난다 갈등 완화를 위해서는 재난관리 주관 기관의 명확화 정부 간 협력체계 강화 민간의 책임 분담 문화 조성 실질적 구호 제도 마련 등이 필요하다
또한 갈등관리는 단순한 갈등 해소가 아니라 생산적 전환을 위한 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협상 조정 중재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정보 공유 인식 차이 개선 갈등관리 교육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갈등관리는 사회 구성원 모두의 협력과 인식 전환을 필요로 하며 관리자나 리더는 갈등이 발생하기 전 이를 예방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갈등은 사회 발전의 과정이자 조직 생존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목차

Ⅰ 연구회 개요
Ⅱ 주요 행사계획 및 일정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현황과 대응 전략
1 서론
2 재난 상황에서 갈등 발생 특성
3 재난관리 과정과 갈등의 발생 원인
4 재난상황에서 이해당사자 간 갈등
5 재난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 완화 방안
6 프레임 이슈구조 측면에서 재난 발생에 따른 갈등 구조
7 위험인식과 위험 소통
8 갈등의 원인과 해법
협력을 위한 효율적 갈등관리 전략
Ⅰ 인류역사와 갈등
Ⅱ 갈등관리의 의의
Ⅲ 갈등관리 장애요인
Ⅳ 갈등관리 방안
Ⅴ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