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환황해권 협력과 서해안 황금벨트 구상 (서진영,전가림,정환우,진창수,조성호,김번욱,강영주,김진석,조상필,곽행구,짜오위푸,리위쩐,타가히데토시)
- 기간
- 2008. 06. 27 ~ 2008. 06. 27
- 키워드
- 중국,환황해,지역협력,경제성장,지역주의,동북아,무역,전략
- 다운로드
-
환황해권 협력과 서해안 황금벨트 구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1세기 부강한 중국의 등장과 환황해 시대 (서진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회의-1주제]환황해 협력의 의의와 추진 방향 -지방자치단체협력협의체 구성과 문제점- (전가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회의-2주제]환황해권 지역협력의 경제적 의의와 파급효과 (정환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회의-3주제]동북아 경제, 안보협력의 연계 - 일본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창수).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회의-1주제]대중국 광역경제특구 조성방안 (조성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회의-2주제]수도권 광역경제권 형성을 위한 인천의 발전전략 (김번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회의-3주제]충남의 서해안 발전 구상 (강영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회의-4주제]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한 전라북도 발전전략 (김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회의-5주제]전남 서남해안 발전전략 (조상필,곽행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회의-1주제]중국의 환황해경제권 발전전략 (짜오위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회의-2주제]환황해지역경제협력 -중국의 관점 (리위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회의-3주제]동아시아의 소지역주의 (타가 히데토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환황해권은 한중일 중심의 동북아 핵심 경제권으로 각국은 상호 경제적 보완성과 교류 확대를 통해 공동 번영의 가능성을 모색 중이다 하지만 역사영토문제 민족주의 감정 등이 협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11차 5개년 계획은 성장방식의 전환 자주적 혁신 균형발전 등을 골자로 하며 환황해권이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부상했다 특히 베이징톈진허베이 지역의 조합전략이 환황해 협력의 기반이 된다
한국은 서해안 평택항 등을 중심으로 수도권과 중부권 기업의 대중국 물류비용 절감을 목표로 환황해 경제협력에 주목하고 있다 교역량 증가에 따라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환황해 협력은 중앙정부 중심보다는 지방정부와 민간 주도의 협력이 더 실효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지방 간 협의체 구성이 추진되고 있다 다만 제도적 기반과 국가 차원의 지원은 여전히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환황해 지역은 경제성장 지정학 지역주의 등 다층적 요소가 복합된 전략적 공간이며 현실적이고 단계적인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동북아 지역협력의 실질적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목차
I 환황해 협력의 의의와 추진 방향
II 환황해권 지역협력의 경제적 의의와 파급효과
III 동북아 경제 안보협력의 연계 일본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 2 회의 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한 환황해권
I 대중국 광역경제특구 조성방안
II 수도권 광역경제권 형성을 위한 인천의 발전전략
III 충남의 서해안 발전 구상
IV 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한 전라북도 발전전략
V 전남 서남해안 발전전략
제 3 회의 중 일의 광역경제권 구상
I 중국의 환황해경제권 발전전략
II 환황해지역경제협력 중국의 관점
III 동아시아의 소지역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