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남의 정체성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남의 정체성 연구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소진광
연구자
박철희
키워드
충남,지역정체성,인물,유적,유물
다운로드

R101209-충남의 정체성 연구(소진광,박철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의 정체성 연구는 느림의 여유와 절제된 단순미라는 시간적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정리하고 이를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하려는 시도다 시간함수는 충남의 역사 인물 언어 예술 등에서 유래된 내면적 여유와 절제된 태도를 표현한다
공간함수는 충남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위치 지형 및 교통 구조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면서도 독립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속성을 보여준다 응집되었으나 폐쇄적이지 않고 유연하면서도 절제된 자연과 생활환경이 그 특징이다
정체성 형성의 기반은 역사적 경험과 문화적 축적에서 비롯되며 충청도 사투리 내포제 시조창 등은 절제미와 내면의 울림을 드러낸다 이는 단순한 느림이 아닌 사유와 배려의 태도로 해석된다
정체성은 지역 내 동일성과 대외적 차별성을 동시에 지니며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형성의 필수 조건으로 작용한다 동일성은 공동체 결속을 차별성은 경쟁력을 제공하며 두 속성은 상호보완적이다
도시화와 세계화 속에서 지역의 고유성은 상실되기 쉬우나 충남은 시간과 공간 모두에서 균형감을 유지하며 이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이러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은 지역 브랜드 강화 정주의식 회복 문화자원의 전략적 활용 등으로 이어진다 충남의 정체성은 단지 전통 보존이 아닌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천적 기초로 작동할 수 있다

목차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의 활용방안
제 2 장 지역정체성 개념과 접근 틀
1 지역정체성과 지속가능한 인류사회의 발전
1 인류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지역정체성
2 지역 정체성을 통한 사회적 지속가능성
2 지역정체성의 개념과 시공간함수
3 지역정체성의 접근 틀
제 3 장 충남 정체성의 시간함수
1 충남지역의 역사
2 충남의 인물
3 충남의 유물과 유적
1 충남의 문화재
2 충남의 성곽유적
4 충남의 문화
1 세시풍속
2 충남의 전통신앙
3 충남의 음식
4 충남의 예술
5 충남의 언어충청도 사투리
5 충남의 시간활용방식
6 충남의 시간함수종합
제 4 장 충남 정체성의 공간함수
1 충남의 위치와 면적
2 충남의 지형적 특성
3 충남의 인문환경
1 충남의 인구분포
2 충남의 인구증감
3 충남의 인구이동
4 충남의 지역구분
5 충남의 공간함수종합
제 5 장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