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물 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한 워크숍 (안종호,이원태)
연구정책조성/워크숍

물 순환시스템 구축을 위한 워크숍 (안종호,이원태)

기간
2011. 06. 07 ~ 2011. 06. 07
키워드
물재이용,하수처리수,중수도,빗물이용,도시하천복원,수질개선,정책계획,재이용기술
다운로드

[발표1]국가 물 재이용 정책 추진현황과 방향 (안종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2]물 재이용 기술동향 및 적용시 고려사항 (이원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도시화와 하수도 확충은 하천 생태계를 훼손시켜 도시 하천 복원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게 만들었고 이를 위한 지속가능한 물 순환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청계천 복원을 모델로 하여 전국 주요 도시들이 물 재이용을 기반으로 생태 복원을 추진 중이다
현재 물 관리 방식은 빠른 배수 중심의 선형 모드로 비효율적이며 순환형 물 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빗물 하수처리수 중수도 등 다양한 재이용 자원을 활용한 도시 물 순환 체계가 강조된다
국내 재이용 시설은 꾸준히 확대되어 빗물이용 중수도 하수처리수 재이용 분야에서 일정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하수처리수 재이용률은 2000년 29에서 2008년 108로 증가했다 용도별로는 하천유지용수가 가장 많고 농업 및 공업용수도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다
선진국 사례로는 싱가포르의 NEWater 미국 플로리다캘리포니아의 도시 재이용 호주의 관개 중심 재이용 등이 있으며 이들은 고도처리 기술과 강력한 정책 지원을 기반으로 높은 재이용률을 달성하고 있다
국내는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중수도 설치 의무화 재정지원 확대 재이용수 수질기준 제정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재이용량 257억톤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주요 추진 수단은 국고 보조사업 민간 투자 유도 재이용 시설 의무 설치 확대 등이다
기술적으로는 막 여과 고도산화 생물막반응조 등이 재이용수 품질 확보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 워터그리드 등 ICT 융합 기술과 고성능 분리막 기술이 핵심이 될 전망이다 동시에 운영관리 통합 역량과 전문기업 육성도 과제로 지적된다

목차

1 물 재이용 기본배경
2 물 재이용 성과 및 지표변화
3 물 재이용 정책평가
4 물 재이용 장래 여건 전망
5 국가 물 재이용 기본계획안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