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중국 축산물과 수산물의 수입수요 분석
기본

중국 축산물과 수산물의 수입수요 분석

기간
2012. 01. 01 ~ 2012. 12. 31
연구책임자
김양중
연구자
김원년
키워드
중국,축산물,수산물,수입수요
다운로드

중국 축산물과 수산물의 수입수요 분석(2012,김양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에서는 대중국 축산물 및 수산물의 수입수요를 분석하여 가격탄력성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추정을 위해 우리나라 통계청과 한국무역학회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RCH 모형을 이용하였다 탄력성 추정결과 중국 축산물의 수입수요 가격탄력성은 027 소득탄력성은 135로 추정되었으며 수산물의 경우 가격탄력성은 101 소득탄력성은 108로 추정되었다 이는 대중국 축산물의 수입가격이 10 증가하면 대중국 축산물의 국내수요가 27감소하고 소득이 10증가하면 수요가 135 증가하며 대중국 수산물의 수입가격이 10 증가하면 대중국 수산물의 국내수요가 101 감소하고 소득이 10 증가하면 수요가 108 증가함을 의미한다 중국 축산물과 수산물은 모두 가격이 증가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모두 정상재로 구분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mport demand elasticities of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imported form China The data of the Statistics Korea and KITA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ARCH regression model was used for the estimate The results show that 1 The expenditure elasticity for the livestock products imported from China is 135 and the own price elasticity is 027 2 The expenditure elasticity for the marine products imported form China is 108 and the own price elasticity is 101 These results mean that if the price of livestock products increases 10 the demand for livestock products will decrease 27 and if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increases 10 the demand for livestock products will increase 135 If the price of marine products also increases 10 the demand for marine products will decrease 101 and if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increases 10 the demand for marine products will increase 108 We can know the own price elasticities are all negative It proves that the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are normal good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3 연구의 자료 및 방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