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행복은 사회학 심리학 경제학 환경학 등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다뤄지며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인식이 모두 반영돼야 한다 이에 따라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을 양 축으로 하는 9개 관심영역이 설정됐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를 조합해 충남형 행복지수 틀이 제시되었다 영역에는 주거 일자리 공동체 교육 문화 환경 건강 주민참여 주관적 웰빙이 포함됐다
설문조사 결과 주거 만족도는 높았으나 교통은 낮았고 일자리는 고용률은 낮고 비정규직 비중은 높은 상황에서 스트레스가 높았다 가족과 공동체에서는 정서적 만족도는 높으나 사회적 신뢰는 낮았고 교육은 전반적 만족도가 평균 수준이었다 문화 및 여가는 향유 기회가 부족하고 만족도도 낮았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보통 수준 건강은 만족과 불만족이 혼재돼 있었다 주민참여는 참여율과 도정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다
지표 개발은 도민의 선호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이루어졌고 객관성과 활용 가능성을 고려해 정리됐다 예를 들어 주거와 교통에서는 주택전세가격지수 공원면적 사고발생건수 등과 함께 주관적 만족도를 지표로 삼았으며 일자리 영역에서는 고용률과 임금 외에도 직장 내 관계나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까지 포함됐다 교육과 문화 환경 건강 영역에서도 이와 같은 이중지표 방식이 적용됐다
정책 제언으로는 일자리 창출 정주 여건 개선 창의적 학습공간 조성 공동체 회복 단체장의 리더십 강화가 핵심 전략으로 제시됐다 특히 학습은 학교를 넘어서야 하며 평생학습과 시민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적 장치들이 병행돼야 한다 주민의 자발적 참여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신뢰와 정보공개도 정책적 과제로 언급됐다
행복지수는 정책수립의 기준이자 주민 만족도의 지표로 기능하며 이를 통해 충남도는 도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향후 지속적인 지표 개선과 주기적 조사를 통해 지표의 현실성과 정책 반영력을 높여야 하며 진정한 행복의 실현은 주민 중심의 정책 설계와 실행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및 추진체계
1 연구의 주요내용
2 연구의 추진체계
II 행복에 대한 이해와 영역설정
1 행복의 개념
1 행복의 사회학적 이해
2 행복의 심리학적 이해
3 행복의 경제학적 이해
4 행복의 환경학적 이해
2 기존 측정사례 및 지표
1 행복측정에 대한 접근
2 행복 및 유사 측정지표
3 행복 및 유사지수 적용사례
4 행복지수의 개별 연구
5 행복 및 유사지표의 검토
3 행복측정을 위한 측정틀
1 행복측정을 위한 측정틀의 개요
2 상호작용 관점의 채택
3 관심영역의 설정
4 행복측정을 위한 측정틀
III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도민 의견조사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각 영역별 결과분석
IV 충남의 행복지수를 위한 영역과 지표개발
1 주거 및 교통 부문
1 왜 중요한가
2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3 지표 선정
4 정책 방향
2 일자리소득소비 부문
3 가족 및 공동체 부문
4 교육 부문
5 문화 및 여가 부문
6 환경 부문
7 건강 및 보건 부문
8 주민참여 부문
9 주관적 웰빙 부문
V 정책제언 및 결론
1 정책제언
2 결론
참고문헌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
-
신혜지
열린충남73호 2015. 12. 01
열린충남64호 2013. 09. 01
열린충남69호 2014. 12. 23
충청남도 민관협치 실태와 전략적 추진방안 2024. 02. 26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023. 02. 13
주민수요에 부응한 충남자치경찰의 전략과 과제 2023. 02. 06
-
송정기
충남지역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 방안 2015. 08. 01
열린충남58호 2012. 03. 01
충청남도의 물 자치권 확립을 위한 정책과 과제 2013. 02. 01
(충청남도가대한민국에제안합니다) 물 자치권 확립 2018. 03. 01
농촌지역 귀농·귀촌인 정주현황 및 커뮤니티 실태 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2. 01. 01
-
이상진
큰빗이끼벌레 출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민관 전문가 합동 토론회(이상진,서지은) 2014. 08. 14
2015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국제포럼(Peter Esselink, 이동영, Hongda Shi, 이상진, 우승범) 2015. 08. 20
금강 물환경 정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개최 계획 (이상진) 2012. 11. 27
국가균형발전 12주년 학술 심포지엄(홍성호,황혜란,정희윤,이상진,류종현) 2016. 01. 29
역간척(逆干拓) 용어정리 관련 워크숍 (이상진) 2013. 11. 19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추진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중천,김종성,권봉오,이상진) 2014. 03. 21
-
장창석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워크숍(오수길,장창석) 2016. 12. 05
찾아가는 지속가능발전 및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오수길) 2016. 10. 20
충남 사업장폐기물 매립장 입지 갈등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장창석, 홍수열, 장용철) 2015. 09. 23
2015 공공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장창석) 2015. 10. 12
충청남도 지방공기업 갈등관리 역량강화 교육(CNI세미나2017-106)(장창석,최진하) 2017. 08. 30
도시군 공공갈등 협력 강화를 위한 충청남도 갈등관리 관계관 합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18) (고승한, 이영웅, 전상욱) 2017. 03. 22
-
김종수
충남연구원-공주대학교 공동학술대회 및 지역리더 포럼(지수걸, 유정규, 김종수, 이재영) 2015. 06. 03
충남발전연구원- 한겨레경제연구소 협약체결 및 심포지엄(서재교,김종수) 2015. 04. 01
사회적경제기본법에 따른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의정토론회(이인우) 2015. 09. 11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남연구원-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행복컨퍼런스(유정식,최슬기,김종수,고승희,한귀영) 2015. 12. 11
-
김양중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창업과 도전을 보장하는 기업생태계(김양중) 2015. 04. 24
충남 지역인재 육성방안 워크숍-지역경제를 이끄는 맞춤형 인적자본투자 정책방향 모색(김양중) 2015. 05. 08
충청남도 투자통상분야의 장?단기 비전과 정책방향 (김양중,김익성,오수용,박종찬) 2009. 12. 29
사회적경제연구회 제10회 워크숍 '충남사회적경제 생태계분석' (김양중,이은애,임준홍) 2011. 09. 22
충남 서비스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99) (배동수,김양중,김국진) 2017. 09. 07
-
장수명
열린충남34호 2006. 03. 01
사회혁신운동컨퍼런스'삶을 디자인하다'(김제선,김재춘,조아신,김현진,장수명,하승창,장은희) 2014. 11. 25
충남 도시,산업 상생지구 발전 전략 2015. 04. 02
(해외출장보고서)노후인프라 세부 대응 동향 파악을 위한 선진지 답사 (일본, 도쿄, 히로시마) 2018. 02. 19
충청남도 인적자원 육성 및 공급 실태분석 -대학 및 직업 인력을 중심으로 2005. 01. 01
충청남도 산학협력의 실태분석과 혁신방안 연구 - 기업 문제해결 관점을 중심으로 - 2011. 01. 01
-
이희길
행복연구회 제2차 워크숍 '웰빙과 사회발전 측정 개관' (이희길) 2012. 02. 17
충남 도민의 행복지표 측정과 정책연계 방안 2013. 02. 01
충남도정 주요지표의 재구조화 및 활용방안 2017. 04. 01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충남발전연구원 한국사회경제학회 여름학술대회 (박진도,백운성,고승희) 2012. 07. 07
-
이윤석
충청남도 농어촌지역 버스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2012. 02. 01
충청남도 숙의민주주의 제도 운영 방안 연구 2022. 03. 24
한미 FTA에 따른 충남지역 경제효과와 대책 2006. 01. 01
탄소저감형 기회발전특구 조성방향 및 정책과제 2023. 02. 13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