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남 농산물 산지유통전략 연구회> 제1차 워크샵 (박범인, 김용진, 김형근, 이부원)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 농산물 산지유통전략 연구회> 제1차 워크샵 (박범인, 김용진, 김형근, 이부원)

기간
2012. 08. 22 ~ 2012. 08. 22
키워드
3농혁신,지속가능,지역공동체,친환경 농업,도농교류,지역리더,6차산업화,유통구조
다운로드

0. 충남3농혁신과 산지유통_박범인 과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1-1.산지유통 사업체계 개선방안(2012년)_농식품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1-2.산지유통종합계획수립_설명회(충남)_농식품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전북예담채사례발표(김용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3.울산북구급식지원센터 사례발표(김형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4.당진시학교급식지원센터 사례발표(이부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민선5기 출범 이후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을 아우르는 3농혁신을 도정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였다 산업 공간 사람 문제를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융복합을 통해 대응해 나가는 전략이 핵심이다
정책 목표는 농어촌 주민 삶의 질 향상 안전한 먹거리 확보 도시와 순환공생하는 농어촌 공동체 형성이다 기존 시책은 융복합과 거버넌스를 통해 강화하고 새롭게 발굴한 76개 시책은 시대 변화에 맞춰 반영하였다
추진 방향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행정주도에서 민간협력으로 외부 의존형 발전에서 지역 내발적 발전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체 사업은 4년간 4조 원 이상이 투입된다
5대 핵심과제로는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도농교류 활성화 지역리더 양성이 제시되었다 각 과제는 전략사업과 단위사업으로 세분화되어 추진 중이다
주요 성과로는 고품질 쌀 브랜드 개발 지중열 이용 시설원예 확대 조사료 자급률 향상 당진시 학교급식센터 운영 돼지카페 등 6차산업화 모델 실현 향토자원 디자인 사업과 농촌관광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이 있다
궁극적인 비전은 농어촌의 자생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농정 실현이다 생산자와 소비자 도시와 농촌이 상호 순환하며 공생하는 공동체 모델 정착을 지향한다

목차

1 3농혁신 개념과
2 3농혁신 비전과 목표
3 추진체계 및 전략
4 5대 핵심과제
1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 생산
2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유통구조 선진화
3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4 도농교류 활성화
5 농어촌 지역리더 육성
5 충남 농정의 미래상
6 융복합과 거버넌스 체제 구축
7 나타나고 있는 성과들
1 친환경고품질농산물 생산 분야
2 지역순환식품체계구축 분야
3 도농교류 활성화 분야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