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2012년 9월 충남에서 열린 로컬푸드 국제컨퍼런스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한국 사례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로컬푸드 활성화 및 지역순환식품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은 KYF2Know Your Farmer Know Your Food 사업을 통해 먹거리 시스템을 혁신하며 농촌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유도했다
이탈리아는 피사대학 연구팀이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역 식품체계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일본은 지역먹거리공동체 형성과 유기농업을 통한 농촌 재생 실천사례를 공유했다 충남은 지역 단위 로컬푸드 인증제도와 정책 사례를 발표했다
오후 국내 컨퍼런스에서는 사회적경제와 생협 공공급식 식생활교육 꾸러미사업 농민직판장 슬로푸드 등 여덟 개 세션을 통해 로컬푸드의 실천적 접근과 민관협력 모델을 다각도로 소개했다 각 세션은 지역 사례와 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미국의 로컬푸드 정책은 단순한 지역 먹거리 유통을 넘어 농민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식생활 개선 도시농업 보전까지 포함한다 KYF2는 연방정부 여러 부처와 협력하여 인프라 구축과 정책 통합을 도모했고 다양한 프로젝트가 지역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로컬푸드는 생산가공유통소비의 모든 단계가 지역 내에서 이뤄지는 체계를 의미하며 소규모 농민뿐 아니라 대규모 생산자 유통업자 교육기관 병원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다 농민장터 학교급식 푸드허브 등이 대표적인 예다
로컬푸드 시스템은 농촌의 지속가능성과 지역 경제자립에 기여하며 농장보전 식생활 교육 저소득층 접근성 향상 문화적 정체성 유지까지 다양한 사회적 효과를 갖는다 미국은 이를 통해 중소 농장 부흥 신생 농부 육성 지역 일자리 창출 등 다층적 성과를 도출했다
이탈리아는 피사대학 연구팀이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역 식품체계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일본은 지역먹거리공동체 형성과 유기농업을 통한 농촌 재생 실천사례를 공유했다 충남은 지역 단위 로컬푸드 인증제도와 정책 사례를 발표했다
오후 국내 컨퍼런스에서는 사회적경제와 생협 공공급식 식생활교육 꾸러미사업 농민직판장 슬로푸드 등 여덟 개 세션을 통해 로컬푸드의 실천적 접근과 민관협력 모델을 다각도로 소개했다 각 세션은 지역 사례와 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미국의 로컬푸드 정책은 단순한 지역 먹거리 유통을 넘어 농민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식생활 개선 도시농업 보전까지 포함한다 KYF2는 연방정부 여러 부처와 협력하여 인프라 구축과 정책 통합을 도모했고 다양한 프로젝트가 지역 경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로컬푸드는 생산가공유통소비의 모든 단계가 지역 내에서 이뤄지는 체계를 의미하며 소규모 농민뿐 아니라 대규모 생산자 유통업자 교육기관 병원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다 농민장터 학교급식 푸드허브 등이 대표적인 예다
로컬푸드 시스템은 농촌의 지속가능성과 지역 경제자립에 기여하며 농장보전 식생활 교육 저소득층 접근성 향상 문화적 정체성 유지까지 다양한 사회적 효과를 갖는다 미국은 이를 통해 중소 농장 부흥 신생 농부 육성 지역 일자리 창출 등 다층적 성과를 도출했다
목차
I 로컬푸드 국제심포지엄 in 충남
II 로컬푸드 국내 컨퍼런스 in 충남
1 [제1세션] 사회적경제와 공공급식
2 [제2세션] 지역생협 생협의 중심적 가치로서의 로컬푸드 실천방안 모색
3 [제3세션] 지자체 정책과 거버넌스
4 [제4세션] 식생활교육 충남학교식생활교육 체험장 조성의미와 개선방향
5 [제5세션] 꾸러미 시대 FTA시대 꾸러미사업의 의미와 협력과제
6 [제6세션] 학교 공공급식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으로 확대를 위한 로컬푸드 운동의 과제
7 [제7세션] 지역식품체계 구축을 위한 농민직판 활성화 방안
8 [제8세션] 슬로푸드 이야기마당 생물종다양성과 로컬푸드
II 로컬푸드 국내 컨퍼런스 in 충남
1 [제1세션] 사회적경제와 공공급식
2 [제2세션] 지역생협 생협의 중심적 가치로서의 로컬푸드 실천방안 모색
3 [제3세션] 지자체 정책과 거버넌스
4 [제4세션] 식생활교육 충남학교식생활교육 체험장 조성의미와 개선방향
5 [제5세션] 꾸러미 시대 FTA시대 꾸러미사업의 의미와 협력과제
6 [제6세션] 학교 공공급식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으로 확대를 위한 로컬푸드 운동의 과제
7 [제7세션] 지역식품체계 구축을 위한 농민직판 활성화 방안
8 [제8세션] 슬로푸드 이야기마당 생물종다양성과 로컬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