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9회 워크숍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9회 워크숍

기간
2012. 03. 20 ~ 2012. 03. 20
연구자
정봉희,김효주
키워드
농식품,로컬푸드,제9회,워크숍,슬로푸드,유기농
다운로드

1. 한국에서 슬로푸드 식당이란(황교익).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 외식업계_향후_지향과_활성화_방안(노민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1. 외식업계추세(노민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3. 문턱없는밥집(심재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4. Chez Panisse(최민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5. Chez Panisse에 관한 분석(최민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6. 충남농업기술원(이진영-농가맛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7. 충남농가맛집소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8. 오요리(이지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9회 워크숍 내용 정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로컬푸드 9회 워크샵.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생공소활동.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 무엇이 슬로푸드인가
슬로푸드라는 단어가 한국에 소개된 것이 30년 정도 되었다 사람들은 이 단어에 대해 퍽 익숙하다 그러나 다 제각각의 입장에서 익숙할 뿐이다 패스트푸드 전문점의 것이 아니면 다 슬로푸드인 줄 아는 사람들도 있고 천천히 만들어 먹는 음식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가장 큰 오용은 모든 한국음식은 슬로푸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 오용이 하도 심하여 슬로푸드라는 단어를 한국에서는 용도폐기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외국에서는 슬로푸드라는 단어의 사용이 꾸준하여 우리만 이를 버릴 것도 아니다
슬로푸드라는 단어는 사회경제적 혹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용어이다 운동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무엇을 반대하고 무엇을 지향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이다 반대의 대상은 세계화이고 지향점은 지역적 삶이다
이후 생략

목차

한국 음식문화와 지역농업의 연계방향
외식업계의 향후 지향 로컬푸드 슬로푸드 유기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