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 공공디자인 표준 및 가이드 라인 수립 연구 용역
수탁

공주시 공공디자인 표준 및 가이드 라인 수립 연구 용역

기간
2012. 04. 12 ~ 2012. 08. 10
연구책임자
권영현
키워드
공공디자인,도시정체성,공주시,디자인가이드라인,주민참여,도시재생,문화유산,경관개선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시 공공디자인 표준 및 가이드 라인 수립 연구 용역_관리자_20160703_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공주의 정체성과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공공디자인 체계 정립을 목표로 하며 도시 이미지 개선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공주와 공공디자인이라는 도시 고유의 맥락에서 출발하여 도시조직 내 공공디자인 기능을 분석하고 관련 위원회 및 조례의 역할을 정비하였다 디자인예술고을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공공디자인 정책과 연계한 점이 특징이다
도시계획 및 관련 정책과의 연계도 중요한 축이다 2020 도시기본계획 고도보존계획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과 함께 통합된 공공디자인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계획은 도시경관의 통일성과 역사성 보존을 중점에 두고 있으며 유구자카드 디자인 농산물 브랜드 5도2촌 브랜드 개발 등 지역 특화형 디자인 지원도 포함됐다
주민참여 디자인도 주요한 성과로 다뤄진다 행복한 마을 디자인 사업 도심골목길 재생협의회 공공디자인 포럼 디자인 아카데미 등 주민이 직접 기획참여하는 프로그램을 다수 운영하여 지역 공동체 기반 디자인 문화를 조성하였다 이는 공공디자인의 민주성 확보와 지역 맞춤형 접근에 실질적인 성과를 낸 부분이다
공공디자인 실천 결과는 공간별로 다층화되어 있다 도보환경 개선 담장 허물기 가로경관 정비 옹벽 녹화 쌈지주차장 등은 생활밀착형 디자인 사례로 정리되었고 공공청사 문화센터 공예품전시관 등은 공공건축 디자인의 우수사례로 포함되었다 제민천 생태하천 공산성 한옥마을 조성 등 생태역사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공공미술 성과도 뚜렷하다 문예회관 터널 아파트 학교 시장 등의 벽화사업은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시민 정서와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도구로 기능했다 문화가 흐르는 거리 조성 공모전 수상 세미나 개최 등은 공공디자인을 매개로 한 도시문화 확산의 주요 사례다
보고서 마지막에서는 도시의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전략을 제시한다 역사문화권 생태농촌권 신시가지 권역으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공공디자인 목표와 접근법을 수립하였고 장기적으로는 공주의 정체성을 반영한 통합 도시이미지 구축이 핵심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는 단기 시범사업을 넘어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 도시로의 전환 전략이다

목차

제1장 공공디자인의 시작
1 공주와 공공디자인
[1] 공주의 유래와 정체성
[2] 공공디자인의 도입과 활용
[3]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2 공공디자인 조직과 기능
[1]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2] 공공디자인 기능
[3] 공주시 공공디자인위원회
[4]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무협의회
[5] 목재문화시설 디자인 TF팀
[6] 공공디자인 관련 법령 및 조례
제2장 공공디자인의 전개
1 공공디자인 목표 및 개념
[1] 배경 및 목표
[2] 기본개념
2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계획
[1] 2020 공주도시기본계획
[2]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도시기본구상
[3] 공주고도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4] 공주 고도보존계획
[5]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6] 공주시 경관기본계획
3 경영활성화를 위한 지원
[1] 산업디자인 개발지원
[2] 유구자카드 디자인 개발지원
[3] 유구자카드 BizPolis 사업
[4] 도시브랜드 하이터치 개발
[5]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6] 정안밤 지리적표시 등록
[7] 5도2촌 브랜드 개발
4 시민이 함께하는 디자인 프로그램
[1] 주민참여 행복한 마을 디자인 사업
[2] 2012 공주시 공공디자인 포럼
[3] 2012 충남 공공디자인 아카데미
[4] 공주 도심골목길 재생협의회
[5] 공공디자인 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제3장 공공디자인의 결실
1 공공디자인대전
[1] 제2회 충청남도 공공디자인대전
[2] 2013 충청남도 건축공공디자인문화제
2 국비 및 도비 공모사업
[1] 2009 마을미술 프로젝트
[2] 2011 구 읍사무소 건물 리모델링
[3] 2012 도시공원예술로 공모사업
[4] 국고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5] 푸른내 맑은내 제민천 명소화 사업
[6] 계룡산 도자예술촌 휴게공간 조성사업
[7] 구도심 먹자골목 디자인 프로젝트
[8] 공모 신청했던 사업
3 공공디자인 분야 사업성과
[1] 전통을 살린 담장허물기 사업
[2] 무령왕릉로 테마거리 조성사업
[3] 횡단보도 개선 시범사업
[4] 도심 옹벽 녹화사업
[5] 웅진로 가로경관 개선사업
[6]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선사업
[7] 쌈지주차장 조성사업
4 공공건축 분야 사업성과
[1] 마을회관 및 경로당
[2] 공공청사
[3] 공주종합버스터미널
[4] 공주시 청소년문화센터
[5] 공예품전시판매장
[6] 나래원
[7] 고마
[8] 웅진백제역사문화관
5 도시재생 및 생태환경 분야 사업성과
[1] 공산성 정비사업
[2] 한옥마을 조성
[3] 제민천 생태하천 조성사업
[4] 국고개 문화거리 조성사업
[5] 시간이 정지된 음악공원
[6] 길 조성사업
[7] 생태공원 조성사업
6 공공미술 분야 사업성과
[1] 문예회관 석축 벽화 조성사업
[2] 문화가 흐르는 국고개 벽화 조성사업
[3] 시민운동장 백제체육관 벽화 조성사업
[4] 신관동 농협창고 벽화 조성사업
[5] 반죽동 하고개 벽화 조성사업
[6] 신관동 현대 아파트 벽화 조성사업
[7] 계룡초등학교 벽화 조성사업
[8] 정지산 터널 벽화 디자인사업
7 행사개최 및 수상실적
[1] 워크숍 MOU 포럼 세미나 등
[2] 공공디자인 관련 수상 및 책자 발간
8 다른 지역과 교류
[1] 선진 사례 벤치마킹
[2] 타 시군 및 단체 공주 방문
제4장 결론 및 앞으로 계획
1 성과 종합 요약
[1] 도시 정체성의 새로운 모색
[2]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및 정책 수립
[3] 주민이 참여하는 공공디자인
[4] 국도비 지원 디자인사업
[5] 건축으로 공주 정체성 찾기
2 중장기 계획 방향
[1] 통합적인 공주 정체성 마련
[2] 역사문화권역의 중장기 목표
[3] 생태농촌권역의 중장기 목표
[4] 신시가지 권역의 중장기 목표
부록
1 공주시 공공디자인 조례
2 보도기사
3 자문실적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