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
수탁

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

기간
2011. 04. 27 ~ 2011. 12. 22
연구책임자
이충훈
연구자
황종현,정재윤,남택영,임정민,조혜진,고승희,권영현,임준홍,김경태,권미정
키워드
공주고도,경관기준,고도보존계획,역사문화환경,특별보존지구,시범지구,건축물현황,경관가이드라인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해외사례조사 연구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사업지구 건축물 현황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해외사례조사 연구집(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고도 사업지구 경관기준 종합보고서_관리자_20160725_공주고도 사업지구 건축물 현황자료집(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고도의 역사문화환경을 보존하고 도시 경관의 질적 향상을 위해 경관기준 수립이 추진됨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을 바탕으로 공주의 역사적 장소성과 시각적 특성을 살린 통합적 경관 관리체계 마련이 목적임
공산성 정지산 등 주요 유적과 제민천 금강 등 자연지형을 포함한 공간은 특별보존지구와 역사문화환경지구로 구분되며 시범지구 내 건축물은 1층 단독주택이 다수를 차지함 대부분은 벽돌 및 철근콘크리트 구조이며 최근 건축된 건물은 금성동에 집중됨
현장조사 결과 공산성 인근 상업시설 난립과 통행축 단절 노후 주거지와 천변 무허가 상가로 인해 고도경관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공원 녹지 수변공간의 활용도 부족과 교통 혼잡도 고도이미지를 저해하는 요인임
경관유형은 시가지 가로 유적지 산림녹지 수변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별로 건축물 층수 지붕형태 색채 간판 정비 등의 개선 방향이 제시됨 특히 제민천변과 봉황로 등은 보행자 불편과 시각적 혼란이 두드러져 개선이 시급함
유럽과 일본의 고도도시 사례를 분석하여 드레스덴 그라츠 교토 등은 역사성과 현대성이 조화를 이루는 경관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음 이를 참고해 공주도 주민참여형 계획 경관가이드라인 체계화 자산 연계형 콘텐츠 도입이 필요함
최종적으로는 역사문화미관지구 최고고도지구 등 법적 지정을 통해 건축행위와 공간구성에 대한 구체적 규제와 유도를 병행함 경관기준은 건축물 오픈스페이스 간판 색채 등 구성요소별로 설계지침을 제시하고 실행을 위한 주민지원 및 재원확보 방안도 포함됨

목차

Ⅰ 계획의 개요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1 계획의 배경
2 계획의 목적
2 계획의 방법 및 범위
1 계획의 방법
2 계획의 범위
3 계획의 성격
4 수행체계
Ⅱ 고도사업지구 현황조사
1 사업지구 현황
1 관련규제 현황분석
2 건축물 현황분석
2 경관현황 조사 및 분석
1 경관 현황
2 경관현황분석
Ⅲ 고도육성 제도 검토
1 관련법제 및 계획검토
1 고도관련 법제검토
2 관련계획과 관계검토
2 사례지역 검토
1 드레스덴
2 그라쯔
3 교토
4 나라마찌
Ⅳ 고도경관 형성계획
1 계획의 기본방향
1 기본방향
2 키워드 도출
3 경관 미래상 설정
2 경관축 및 조망경관 기본구상
1 경관축 기본구상
2 조망거점경관
3 경관권역 설정 및 경관개선 기본구상
1 권역설정
2 경관개선 기본구상
4 유형별 경관형성계획
1 시가지 경관
2 가로경관
3 유적지 경관
4 산림 및 녹지경관
5 수변경관
5 경관유형별 경관형성기준
1 가로 경관 기준
2 유적지 경관 기준
3 산림 및 녹지경관 기준
4 수변경관 기준
Ⅴ 경관형성설계지침
1 추진방향 및 기본구상
1 추진방향
2 가이드라인 원칙
3 경관가이드라인 체계
4 기본개념
5 적용원칙
6 컬러개념도출
2 경관특성별 가이드라인
1 중점관리지역
2 권장관리지역
3 구성요소별 경관설계지침
1 건축물
2 오픈스페이스
3 공공구조물
4 옥외광고물
5 공공시설물
6 환경색채
7 조망경관
4 유형별 지붕형태 적용
1 경관유형별단독주택
2 경관유형별상가건물
3 경관유형별단독주택
4 경관유형별상가건물
5 경관유형별상가주택
6 경관유형별단독주택
7 경관유형별상가건물
Ⅵ 실행방안
1 주민지원 방안
1 추진방향
2 국외사례
3 시사점
2 공주고도 경관형성을 위한 지원체계구축
1 기본방향
2 지원방안
3 지원체제 구축방안
4 지역사회 참여방안
5 재원확보방안
6 법제도 정비
3 경관기준 적용방안
1 적용시기
2 적용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