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과거 성장전략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가계부채 주택시장 침체 낮은 민간소비 등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경제적 불안정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성장을 단순한 양적 확대가 아닌 질적 전환으로 바라보며 분배와 고용 사회안전망이 조화를 이루는 좋은 성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혁신 균형 협력 사람투자를 중심으로 한 포용적이고 창조적인 성장모델이 필요하며 제도적 개혁과 정책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충청남도는 세종시와 과학벨트를 기반으로 행정과학 중심지로 부상 중이며 지역 균형발전과 성장전략의 조화를 이뤄야 한다
충남은 혁신기업 생태계 조성 대중국 협력 광역경제권 전략 인재양성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성장 모델 실현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다
목차
1 기적적 성장과 지속가능성
2 수출주도 성장의 명암
3 양극화의 함정
4 취약한 서비스업
5 저출산 고령화의 도전
6 조세부담과 지출확대
7 부채의 함정
Ⅱ 제2장 성장의 필요성
8 저성장 적응론과 돌파론 논의
9 한국경제 성장단계의 수준과 향후 전망
10 한국경제성장의 명암
Ⅲ 제3장 역대정부의 성장전략
11 일제 강점기의 영향
12 이승만 정부
13 박정희 정부
14 전두환 정부
15 노태우 정부
16 김영삼 정부
17 김대중 정부
18 노무현 정부
19 이명박 정부
Ⅳ 제4장 새로운 성장전략의 모색
20 새로운 성장에 대한 대안논의
21 경제성장이론의 변화
22 세계금융위기 이후 정책환경 변화와 한국성장에서의 고려사항
23 주요국의 새로운 성장정책 검토
24 새로운 성장론의 키워드
Ⅴ 제5장 새로운 성장전략과 연관된 정책분야
25 조세
26 재정
27 교육
28 복지
29 지역균형
30 고용
31 제도개혁
Ⅵ 제6장 새로운 성장전략과 충청남도의 역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건범
충남리포트-124호-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전략 모색과 민선6기 충남의 발전 방향 2014. 08. 21
-
김찬규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환황해포럼(Pan-Yellow Sea Forum) 캐슬린 스티븐스, 쉬지엔 2015. 11. 20
국가균형발전 선언 13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CNI세미나2017-007) (황희연, 이민원, 황태규) 2017. 02. 14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6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2016. 04. 12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5. 12. 09
-
정성훈
한국 경제사회 발전에 따른 재정 및 조세 전략과 충남의 과제 2013. 10. 10
국가 도시재생정책과 연계한 지역주도의 도시재생정책 추진방안 2018. 01. 01
연구원저서-비매품 연구원저서 - 충남연구원 20년사 2015. 06. 15
합덕읍 발전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 2011. 05. 17
충청남도 민선5기의 정책전망과 과제 (배정환,김난영,윤준상,권경득,임정빈,김덕준) 2010. 04. 30
-
허석재
충남리포트-124호-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전략 모색과 민선6기 충남의 발전 방향 2014. 08. 21
제1차 충청남도 산지관리지역 계획수립 연구용역 (2014~2017) 2013. 06. 04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상징 육교 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 2013. 05. 02
직불금제도 개선방안 연구용역 2013. 04. 04
충청남도 문화예술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용역 2013. 0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