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정책지원

충남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기간
2014. 06. 02 ~ 2014. 12. 31
연구책임자
방재성
연구자
오병찬,이충훈,박혜은,김철명
키워드
경관,공공디자인,충청남도,실태조사,도시환경,평가항목,보행환경,공공시설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태조사_방재성_20150708_충청남도 경관 공공디자인 실태조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2014년 충청남도 내 5개 시군공주 논산 보령 예산 홍성의 주요 거리와 공간을 대상으로 경관 및 공공디자인의 현황을 조사한 자료이다 조사의 목적은 도내 공공디자인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향후 정책 수립과 가이드라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조사 대상지는 각 지자체의 사업 예정지와 도시 특성을 고려해 선정되었으며 도로 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매체 등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장 실측 사진 촬영 도면화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시각적감각적 요소를 반영한 정성적 평가가 포함되었다
평가항목은 크게 환경인지적 요인과 공공성 요인으로 나뉘었다 환경인지적 요인은 개방성 인지성 조화성 정체성 등이며 공공성 요인은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지속가능성 통합성 등이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의 경관 요소가 시민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활용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했다
공주 웅진로의 경우 간판 정비와 전신주 지중화 사업이 일부 진행되어 보행환경이 개선된 반면 간판과 외벽의 부조화와 무단횡단 문제가 지적되었다 논산과 보령 역시 시설물의 디자인 통일성 부족 접근성 문제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공간 분석과 시설별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 특히 보행자 안전 장애인 접근성 야간 시인성 확보 등이 중요한 과제로 강조되었고 통합적인 공공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전체적으로 본 조사는 충남 지역의 공공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으며 지속가능하고 일관된 디자인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1장 경관공공디자인 실태조사의 배경 및 목적
제2장 조사범위 및 평가항목
21 조사지역 개요
1 조사지역 선정기준
2 공주시 웅진로
3 논산시 논산오거리관촉사거리
4 보령시 웅천읍 장터중앙길
5 예산군 덕산면 예덕로
6 홍성군 조양로
22 조사내용 및 평가항목
1 조사내용 및 방법
2 평가항목 도출
3 경관 및 공공디자인 평가항목
제3장 충남 5개 시군 경관 및 공공디자인 현황
31 공주시 웅진로
32 논산시 논산오거리
33 보령시 장터중앙길
34 예산군 예덕로
35 홍성군 조양로
제4장 종합분석 및 평가
41 공공공간 종합 평가
42 건축물 종합 평가
43 공공시설물 및 매체 종합 평가
제5장 경관 개선 대책의 방향
51 공주
52 논산
53 보령
54 예산
55 홍성
부록 2014년 경관조사지역 평가표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