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디자인 정책연구]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사후진단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정책지원

[디자인 정책연구]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사후진단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기간
2015. 03. 02 ~ 2015. 12. 31
연구책임자
박혜은
연구자
오병찬,권영현,방재성,김철명
키워드
공공디자인,진단지표,충청남도,사후평가,경관개선,정책제안,활용방안,주민참여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디자인 정책연구]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사후진단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_박혜은_20160218_사후진단표 활용방안연구(내지)인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문서는 충청남도의 공공디자인 사업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후진단지표를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기존에는 공공디자인 사업에 대한 객관적이고 지속적인 평가 체계가 부족했기 때문에 사업 완료 후에도 실제 목적이 달성되었는지 유지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진단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연구는 충남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관련 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공공디자인 평가지표 사례와 이론 연구를 토대로 진단지표의 분류체계와 평가개념을 도출하였다 공공성 경관성 기능성 공동체성 안전성 지속가능성 등의 핵심 요소가 반영되었으며 사전진단지표와의 연계성을 고려해 사후진단지표가 구성되었다
사후진단지표는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사업추진 과정과 결과물의 질적 수준을 모두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사업추진지표는 사업의 계획 및 절차의 적정성을 사업성과물지표는 완성된 디자인의 실효성과 유지관리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전문가 자문 실무자 인터뷰 등을 통해 타당성과 실효성 검토도 진행되었다
이 진단시스템은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단계별 운영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시범운영기 활용기 활성화기로 나누어 진단범위와 대상 사업을 차등 적용하고 주체별도 시군 전문가 시민 등 역할과 참여방안도 명확히 설정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을 위한 시스템 설계도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단순한 지표 개발을 넘어 충남의 공공디자인 사업 전반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후진단지표를 활용하면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 반복적인 오류를 줄이고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며 공공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공공디자인을 통해 도시의 경관을 개선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본 연구는 그 목표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의 출발점이 되는 실천적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공공디자인 이론 및 현황 분석
공공디자인의 개념 및 의의
공공디자인 대상 및 진단범위
공공디자인 관련 추진사업 동향
국내외 공공디자인 평가지표 사례 분석
공공디자인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
국내 공공디자인 사업 평가지표 사례
국외 공공디자인 사업 평가 사례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사업 사후진단지표 모델 개발
사후진단지표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
사후진단지표의 방향 및 구성
사후진단지표의 내용
사후진단지표 모델 구축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사업 진단 시스템 활용방안
단계별 운영
DB구축 시스템 개발
주체별 참여방안
결론
연구의 성과
정책제언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자문회의 주요 내용 및 조치사항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 중앙부처 지침 리스트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 주요 관련 지침 내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