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통합디자인을 위한 평가체계구축 시스템 개발
전략

충청남도 통합디자인을 위한 평가체계구축 시스템 개발

기간
2014. 02. 25 ~ 2014. 09. 30
연구책임자
이충훈
연구자
박혜은
키워드
충청남도,공공디자인,진단지표,통합관리,경관사업,사전평가,정책제언,평가체계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통합디자인을 위한 평가체계구축 시스템 개발_김효주_20151201__이충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와 15개 시군의 경관 및 공공디자인 사업은 관심도 재정여건 시민 의식 수준 등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사업계획의 타당성과 적정성을 진단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와 절차가 부재하여 통합적 정책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공디자인 통합관리를 위해 사전진단지표를 개발하고 사업의 추진 전 단계에서 자체 평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이를 통해 도와 시군이 일관된 기준으로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연구는 국내외 평가시스템 사례조사 현황 분석 전문가 워크숍을 거쳐 충청남도 실정에 맞는 진단지표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진단지표는 신규 사업의 구상 단계에서 사용되며 각 시군의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공공디자인 영역은 공공공간 시설물 매체 등 실체 영역과 조직 법제도 사업 등의 정책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의 통합 관리가 디자인 품질 향상에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시군은 공공디자인 관련 조례나 가이드라인이 부재하거나 운영체제가 미흡한 상태다
진단지표는 사업의 타당성 공공성 지역성 지속가능성 등을 항목별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경관디자인 심의 및 자문과 연계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전문가 자문 및 위원회 운영 조례 제정 등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는 방향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진단지표는 계획단계에서부터 공공디자인의 방향성과 정합성을 확보하여 중복편중을 막고 통합적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사업결과 평가까지 확대 적용하려면 후속 연구를 통해 지표 보완과 시스템화가 필요하다

목차

I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연구의 범위
연구의 내용
연구방법
3 이론적 고찰
디자인 통합관리
공공디자인 영역
선행연구의 검토
4 현황조사
공공디자인 현황 및 분석
시사점
II 제2장 국내외 평가시스템 사례분석
1 국내사례
서울시 공공디자인 도입효과 평가시스템
문체부 문화적 관점 진단지표
경기도 공공디자인 진단지표
2 국외사례
영국 Spaceshaper
영국 DQI
일본 요코하마 평가시스템
3 국내외 평가의 시사점
III 제3장 신규개발사업 진단지표 및 가중치 설정
1 진단지표의 개요
진단지표 구성체계
진단지표 적용시기
2 균형화 진단프로그램
개요
진단항목 내용
진단프로그램
모의진단
3 신규개발사업 진단지표
개요
진단항목 내용
가중치 산정
진단지표
모의진단
IV 제4장 결론
결론
정책제언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