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실태 및 성공전략
전략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실태 및 성공전략

기간
2014. 01. 01 ~ 2014. 07. 21
연구책임자
김종화
연구자
이관률,강마야,김기흥,여민수
키워드
로컬푸드,직매장,충남,생산자,소비자,지역경제,유통체계,성공전략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형 로컬푸드 직거래 활성화에 관한 연구_김효주_20151201__김종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로컬푸드 직매장은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 거래를 통해 유통 단계를 축소하고 지역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농가소득 증진에 기여하는 유통 채널이다 충남은 아산 원협과 금산 품목별 협의회를 중심으로 자립형과 지역조합형 직매장이 혼재하며 이들의 효율성과 성공요인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금산은 농업인단체가 주도하는 자립형 직매장이고 아산은 지역농협이 운영하는 조합형 직매장으로 유형이 다르며 운영 구조 자금력 기반시설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두 사례 모두 직거래를 통한 경제적 효과는 있으나 소비자 요구에 맞춘 품목 다양성이나 지역 고유성 생산자소비자 간의 관계 형성에는 미흡한 점이 공통적으로 드러났다
생산자 인식 조사에서는 금산은 높은 가격과 지역 농산물의 중요성이 아산은 여기에 생산 정보 제공의 용이성까지 더해져 판매 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분석에서는 금산의 경우 구매비용 절감과 생산자 친밀감이 아산은 구매 편의성과 저렴한 가격이 구매 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두 직매장은 모두 다양한 농산물 항목에서는 공통된 중요 변수를 보였으나 경제성지역성관계성 항목에서는 각각 다른 인과 변수가 작용했다 이는 유형별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운영주체와 입지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방안이 요구된다
공통 전략으로는 직거래 강화 품목 다양화 지역색 강화 생산자와 소비자 간 관계 형성이 제시되었고 금산은 지역성 중심의 전략 아산은 소비자 접근성 중심의 전략이 적합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또한 운영주체별로 정책 지원을 달리하고 참여 농가에 대한 교육 및 조직화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로컬푸드 직매장은 단순한 유통시설이 아닌 지역농업과 소비가 만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해야 하며 운영주체의 특성과 지역 여건에 맞는 성공전략과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이는 향후 충남 각 시군의 직매장 설립 및 운영에 중요한 정책 자료가 될 수 있다

목차

I 서론
1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내용의 범위
II 로컬푸드 직매장의 정의 및 현황
1 로컬푸드 직매장의 정의 및 효과
로컬푸드 직매장의 정의
로컬푸드 직매장의 효과
2 로컬푸드 직매장의 현황 및 특성
로컬푸드 직매장의 현황
로컬푸드 직매장의 특성
로컬푸드 직매장의 출하농가
분석결과의 종합
3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현황
III 사례분석
1 사례선정 및 특성도출
2 사례분석
금산 로컬푸드 직매장
아산 로컬푸드 직매장
3 금산과 아산 로컬푸드 직매장 비교
금산과 아산 로컬푸드 직매장의 일반 비교
금산과 아산 로컬푸드 직매장의 특징 비교
IV 생산자소비자 인식분석
1 생산자의 판매인식 분석
변수설정
응답자 속성
분석결과
2 소비자의 구매인식 분석
변수설정
응답자 속성
분석결과
V 성공전략 및 정책적 함의
1 성공전략
2 정책적 함의
VI 결론
참고 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