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간과해 온 지역정체성과 지방정부의 외교정책 공공외교 전략을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지역 특수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충남 고유의 국제교류 방향과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를 모색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개념과 추진 체계를 제시했다
전략 개념은 환황해 지역정체성의 촉진자 글로벌 그린시티 충남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한 국제교류 거버넌스와 실천체계를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충남은 4세기 백제의 문화적 외연을 바탕으로 동북아 및 아세안 지방정부와의 연계를 통해 환황해 지역 정체성의 중핵이 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정치행정 교류에서는 중국 하북성 일본 구마모토현 베트남 하노이 등과의 협력 확대와 환황해권 다자간 네트워크 형성이 제시되었다 경제통상 부문에서는 사회적 경제 기반의 교류 확대 공동 브랜드 수출 농어촌 생산물의 해외 진출 전략이 포함되었고 일방향적 투자유치에서 벗어난 상호협력 모델이 강조되었다
사회문화 교류에서는 유학생 이주민 예술가촌 등을 매개로 한 문화 네트워크 구축과 지역 정체성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도입이 제안되었으며 지역 공동체의 국제화와 공공외교 플랫폼 구축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국제교류추진전략위원회 구성도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기존의 중앙정부 종속적 국제교류에서 벗어나 자율적이고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국제교류 전략으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공동체의 촉진자이자 환황해권 글로벌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그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와 실천 과제를 종합적으로 제시했다
목차
1 환황해권 시대와 충청남도의 주요 대응 평가
1 20032008년 환황해권 시도지사협의회 구성과 대응
2 2008년 충남 서해안 발전 기본구상안
3 2010년2012년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4 20132014년 서해안 비전 구상안
2 기존 대응의 의의와 한계
1 의의와 문제점
2 기존 대응에서 드러난 패러다임의 한계
3 환황해권 지역정체성 형성에 관한 비전과 전략의 필요성
1 세방화시대 변화된 지방정부의 역할
2 비전수립에 있어서 기회 위험 협력의 문제들
3 환황해권에서 충청남도의 특성과 그린자원
4 지역정체성 형성과 새로운 국제교류 전략의 필요성
4 연구의 차별성 범위와 한계 및 내용 구성
1 범위와 한계
2 연구내용의 구성
II 제2장 이론적 논의
1 구성주의를 통한 새로운 정체성 형성 방법
2 지방정부와 NGO와의 거버넌스를 통한 지역 정체성의 형성 방법
3 지방정부의 자치분권외교정책과 공공외교를 통한 지역정체성 형성
1 국제교류와 지방외교
2 환황해 지역정체성 구성을 위한 지방외교의 주요 어젠다
4 충청남도 국제교류 현황과 평가분석의 틀
III 제3장 지자체 국제교류 현황
1 정치행정분야의 국제교류
1 중앙정부 행위체계
2 지방정부 실행현황
2 경제통상분야의 국제교류
1 중앙정부 행위체계
2 지방정부 실행현황
3 사회문화분야의 국제교류
1 중앙정부 행위체계
2 지방정부 실행현황
4 지방정부 국제교류 구조
1 상호 연계 구조
2 지방정부의 국제교류 네트워크
3 다층적 통합 거버넌스의 필요
IV 제4장 충남의 국제교류 환경
1 충남 국제교류 체계
1 조직체계
2 제도 및 지원체계
2 충남 국제교류의 사업전개
1 정치행정교류
2 경제통상교류
3 사회문화교류
3 충남의 국제교류 조건
1 충남의 역사와 환경적 조건
2 산업경제적 조건
3 사회문화적 조건
4 SWOT분석과 전략도출
V 제5장 전략과 과제
1 전략개념과 추진제제
1 전략개념의 이미지
2 전략개념 비전 목표 추진전략
3 전략개념의 추진체제
2 단계별 전략의 구상
3 주요 과제
1 정치행정 교류
2 경제통상 교류
3 문화 교류
VI 제6장 결론
참고 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배호룡
내포지역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리·역사문화적 측면에서- 2013. 10. 01
-
이은주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협의회 출범식(이은주) 2015. 12. 17
충남리포트-143호-서해안 시대, 충청남도 국제교류 협력 증진 방안 2014. 12. 03
대산공단지역 대기환경영향조사 용역 2017. 10. 31
충남 ODA 사업 추진 방향 연구 2015. 01. 01
충청남도 중요무형문화재의 지정 및 관리 개선방안 2003. 01. 01
-
김찬규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전략과 충남의 과제 2013. 10. 01
환황해포럼(Pan-Yellow Sea Forum) 캐슬린 스티븐스, 쉬지엔 2015. 11. 20
국가균형발전 선언 13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CNI세미나2017-007) (황희연, 이민원, 황태규) 2017. 02. 14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6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2016. 04. 12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5. 12. 09
-
채진원
충남리포트-143호-서해안 시대, 충청남도 국제교류 협력 증진 방안 2014. 12. 03
충남리포트-167호-충남 도민이 꿈꾸는 행복한 성장 -충남 경제비전 2030 수립을 위한 도민 설문조사- 2015. 05. 15
충남리포트-166호-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과제와 전략 2015. 05. 01
충남리포트-164호-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보상으로서 농업직불금 확대 필요 2015. 04. 24
충남리포트-165호-충남 "미더유"현황과 발전전략 2015. 04. 29
-
김한준
충남리포트-143호-서해안 시대, 충청남도 국제교류 협력 증진 방안 2014. 12. 03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충남 ODA 사업 추진 방향 연구 2015. 01. 01
충청남도 SOC 분야별 현황 수준 검토 및 시사점 2015. 06. 18
내포 도시첨단산단 진입도로 타당성 검토 2015. 03.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