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도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TV 다음으로 인터넷신문과 SNS 이용률이 높았고 종이신문과 라디오는 선호도가 급격히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SNS는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단으로 꼽혔으며 특히 젊은층 중심으로 영향력이 크다
충남도청의 공식 블로그와 도민리포터 운영은 긍정적 평가를 받았지만 주로 단순한 정보 전달에 그치고 있어 정책평가와 환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지역 홈페이지 블로그 등에서 주민참여는 여전히 낮아 실질적인 참여 활성화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
정책홍보의 핵심은 지방정부언론매체도민 간 신뢰 형성이며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용자 중심의 홍보로 전환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간결하고 감성적인 메시지 인포그래픽영상 등 시각 콘텐츠 확대 공공부문 전 직원의 홍보역량 강화가 제안되었다
농촌고령층 등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보완책도 제시되었으며 도정시군정 신문 보급 확대 마을신문 활성화 소출력 라디오 도입 KBS 내포방송총국 설립 필요성 등도 포함되었다 정책홍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보완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정책홍보는 정책 실행의 핵심 요소로 뉴미디어 중심 다채널 전략 지역 맞춤형 접근 주민 참여 확대 지역언론과의 상생 모델 구축 등을 통해 도정의 신뢰성과 전달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체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적 범위
3 연구의 방법
4 분석틀
5 연구진행 흐름도
II 선행연구 및 사례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지역언론 관련 연구
미디어의 변화와 정책홍보 관련 연구
2 사례 검토
서울시 사례
대구시 사례
III 언론홍보 매체의 다변화와 정책대응 현황
1 다매체 시대의 도래와 홍보여건 변화
미디어언론매체와 언론홍보의 개념
뉴미디어의 등장과 홍보 여건 변화
효율적 정책 홍보를 위한 뉴미디어 활용 전략
2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행정 홍보 실태와 문제점
정책홍보의 개념
자치단체의 행정홍보의 필요성
자체단체의 행정홍보의 문제점
자치단체의 행정홍보 개선 방향
IV 충남도정의 홍보 실태 분석
1 충남도의 도정홍보의 기본 현황
언론홍보조직 현황
언론 및 홍보매체의 현황
미디어센터의 설립과 홍보 현황
2 충남도지역 언론매체의 현황 및 진흥
충남도지역 언론매체의 현황과 특성
충남도 지역언론 진흥
KBS 내포방송총국 조기설치 지원
3 도정 홍보실적 분석
연도별 홍보실적 분석
주제별 홍보실적 분석
4 소결
V 충남도민의 언론매체 이용 및 시군 홍보실태 분석
1 충남도민의 언론매체 이용실태 및 변화 분석
개인의 언론매체 이용 현황
충남도 관련 정보 및 소식 인지 실태
정책홍보 활성화 방안
2 시군 정책홍보 현황 분석
각 시군 홍보 현황
시군 자체 홍보 매체 활용 현황
향후 홍보매체 활용 방안
3 소결
VI 결론
1 연구의 요약
2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찬규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전략과 충남의 과제 2013. 10. 01
환황해포럼(Pan-Yellow Sea Forum) 캐슬린 스티븐스, 쉬지엔 2015. 11. 20
국가균형발전 선언 13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CNI세미나2017-007) (황희연, 이민원, 황태규) 2017. 02. 14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하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2016년 시민단체와의 간담회 2016. 04. 12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5. 12. 09
-
이지효
제7차 충청중국포럼(이경복) 2016. 01. 27
열린충남68호 2014. 10. 01
열린충남76호 2016. 09. 0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
강수현
상암동 연료전지 발전설비 견학 및 관계자 워크숍 2015. 07. 24
온라인쇼핑거래 확대가 충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23. 08. 14
2021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2. 02. 2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중국인 입국관광객 충남 유치전략 2014. 10. 06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선택형직불 확대방안 2020. 07. 23